오주석의 한국의 美 특강
오주석 지음 / 솔출판사 / 200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강명관 교수의 <조선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걸어나오다>가, 신윤복의 그림을 매개로 한 조선 사람들의 생활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이 책은 김홍도의 작품을 통해 그림을 감상하는 방법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더 나아가 한국 미술 아름다움의 강조로 확장된다.  

나는 미술엔 완전 문외한이고, 좆도 모르다 보니, 중국과 일본 한국 미술(문화)에 순위를 매길 수도 없고 매기지도 않지만, 개인적으로는 김홍도라는 뛰어난 화가의 상징적 케이스와 그 외 소수 작품만 가지고, 일본이나 중국 미술과의 합당한 비교 분석 없이, 한국의 미가 훨씬 더 우수하다는 식의 은근한 일반화에는 문제가 있다고 본다. 예술 작품에 깃들인 음양오행 철학을 논하고, 태극기의 우수성을 말하면서, 정작 음양오행 사상과 8괘 같은 것들이 중국의 것이라는 것은 왜 지나치는가. 물론 문화 사대주의에 길들여져 서구인의 눈으로만 한국 작품을 바라보는 일반 대중들이 안타깝고, 우리 문화도 이렇게 멋지다는 것을 강조하고픈 작가의 의도는 짐작되나, 일본인의 우리 고미술에 대한 가치판단이 우리와 다르듯이 - 저자 말 대로 그림보다는 별 것 아닌 도자기에 더 열광 한다든지 하는 식으로- , 우리도 그 진정한 가치를 제대로 알지 못하는 일본, 중국, 혹은 수 많은 나라들의 문화 예술이 있지 않겠나. 일본은 일본의 맛이, 한국은 한국의 맛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저자가 예를 든, 중국 산수화에만 관심을 기울이던 그 유명 미술 관계자에게 한국 작품은 이러 이러한 것이니 이런 저런 관점에서 봐 달라고 구지 설명하지 않더라도, 민족과 국가를 초월해 누구의 눈에도 아름답게 보이는 예술 작품이 있다면 거기엔 분명 뭔가 그럴만한 힘이 있는 것이고, 그것을 인정하는 것이 옳은 일이라 생각한다.  

개인적으로는, 책에 수록된 작품들에서 그다지 깊은 인상을 받지는 못했다. 저자가 말하는 철학이 담긴 유려한 선이라든지 여백의 미 같은 것도 난 솔직히 잘 모르겠고, 백성이 성리학 국가인 조선에서 하늘이었다든지, 조선 왕들이 백성들에게 끼쳤던 덕이 그렇게 컷었는지도 역시 잘 모르겠다. 다만 한 가지, 책 표지이기도 한 호랑이 그림은 정말 멋지다. 재미삼아 핸드폰으로 호랑이 얼굴을 찍었는데, 사진일지라도 그 눈에서 나오는 기운이 정말 보는 사람을 완전히 압도해서 섬뜩할 지경이다. 어떻게 이런 그림을 그렸는지. 저자의 예찬 수준은 아닐지라도, 김홍도의 천재성은 정말 대단했나 보다.  

암튼, 책 읽고 남는 건 이거다. 그림 대각선 길이의 1~1.5배 되는 거리에서, 오른쪽 위에서 왼쪽 아래 방향으로, 옛사람의 마음과 눈으로 최대한 천천히 감상할 것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