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월은 붉은 구렁을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북폴리오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뻔하다고 생각하면서도, 왠지 여름이니까 미스테리 한 편 쯤 읽어 줘야 할 것 같은 기분에 이끌려 읽은 책. 온다 리쿠의 유명세와 얼마전 들은 라디오 책 소개 프로의 추천도 이 책에 호기심을 갖게 하는 데 한 몫 했고.  

다 읽고 난 느낌은 뭐랄까. 한 마디로 제 2장, '이즈모 야상곡'에서 아카네가 안쪽의 <삼월은 붉은 구렁을> 평가한 그대로다. '미숙, 아마도 처녀작'. 실제로 이 작품이 작가의 처녀작은 아니라 해도 첫 인상은 그렇다. 이야기에 미치고 책에 빠져, 즉 '마니아로 출발해서 소설가가 된 사람'이 두서없이 써 내려간 습작노트 같다고나 할까. 뭔가 '확실히 묘하게 오래남는 이야기'를 쓰고자 하는 작가의 강한 열정은 살아 있지만, 뒷심 부족으로 인해 종착지 까지 도달하지 못하고, 중구난방으로 따로 튕긴다.  

1. '바깥쪽'의 삼월과 '안쪽'의 삼월 - 4부 '회전목마'에도 언급되었듯, 안쪽과 바깥쪽의 삼월의 각 장과 각 부가 서로 호응 하면서도 미묘하게 어긋나는 내용으로 채워 놓고자 시도한 것 같다. Part 1. 기다리는 사람들 vs 흑과 다의 환상 : 장년 남녀 네 명의 등장, 목적은 전설의 벚나무와 삼월을 찾는 것, 잘도 떠드는 사람들. 작은 에피소드들과 경구 같은 대화. Part.2 이즈모 야상곡 vs 겨울 호수 : 주인공 여성이 친구와 함께 실종된 애인, 삼월의 작가를 찾아 떠나는 여행. 이야기 될 때마다 아주 조금씩 떠오르는 진상. -개인적으로 2부가 젤 좋았다. 이즈모행 야간 열차에 꼭 한 번 타보고 싶다.- Part.3 무지개와 구름과 새와 vs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 : 꺼림칙한 피의 유대, 생이별한 이복 오빠, 이복 동생을 찾는 이야기, 고전적 하이틴 로맨스풍 Part.4 : 회전목마 vs 새피리 : 작가의 머릿속에서 꼬리에 꼬리를 물고 떠오르는 이미지를, 정리하지 않은 채 그대로 그림. 이 정도로 대충 정리 되긴 하는데 단지 그 뿐, 그 이상을 넘어서는 유기적 얽힘과 그것이 주는 반전이라든지 감동 혹은 재미는 꽝이다. 석류, 제비 나비, 어린 아이의 죽음, 남자로 길러진 여자 같은 반복적인 이미지가 등장하나 그래서 뭐 어쩌라고? 

2. 각 부의 형식 : 때로는 소설, 때로는 일기, 때로는 에세이 같은 느낌이다. 소설이라 해도 그 장르가 애매모호하다. 1부는 본격 미스테리라 하기엔 많이 모자라고 - 그토록 <삼월>을 읽고 싶어 안달이던 고이치가 눈 앞에 책을 두고도, 한 번 보자는 요청없이 그대로 순순히 돌아올 리가 없지 않은가, 있지도 않은 책을 가지고 추리게임을 벌리는 노친네들의 사치스런 놀이도 전체적인 작품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인위적 설정이라 왠지 부자연스럽다. - 2부는 추리라기 보다 정통 소설에 가까운 듯한, 3부는 하이틴 로맨스와 퐌타지가 뒤섞인 만화 같은 느낌, 4부는 말 그대로 짬뽕.      

정리하고 나니, 처녀작 느낌 물씬 풍기는 미숙함과, 종류는 많지만 샐러드 야채처럼 서로 겉도는 이야기의 조각 조각들이, 작가의 치밀한 계산에 의해 의도된 연출인지, 실제 작가의 역량이 그 정도 수준인지 솔직히 살짝 헷갈린다. 독자를 헷갈리게 하니, 이래서 이 작품을 미스테리라 하는가?  

진실이 뭐든 간에, 책에 대한 사랑이 듬뿍 묻어나는 책에 대한 이상한 이야기 책인 것 만은 확실하다. 독자, 작가, 편집가, 평론가의 입장에서 바라 본, 책에 대한 다양한 단상들을 읽다 보면 절로 웃게 되고, 고개를 끄덕이게 되고, 흐뭇해 진다. 

*책 접기 

"기대가 되는 책은 오히려 쉽사리 시작을 못 하지 않습니까. 공연히 여기저기 어루만져 본다든지, 서두를 슬쩍 읽어본다든지 하면서 말이예요." 

"시간을 잊고 책을 탐욕스럽게 책을 읽는 행복. 그런 기쁨을 알고는 있지만, 최근에는 좀처럼 체험하지 못했다. 책이란 읽으면 읽을수록, 책에 대해서 닳게 되고 감동도 둔해지기 마련이다." 

"재미있는 책은 읽힌다. 주목을 받는다는 생각은 사실 환상이예요. 재미가 있는데도 알려지지 않은 책은 얼마든지 있습니다. 어떤 작품이 인정을 받고 못받는 것은 운의 문제이기도 하고, 또 타이밍의 문제이기도 해요." 

"나는 서점에 갈 때마다 내가 읽지 못한 책이 이렇게나 많다니, 하고 늘 절망합니다. 내가 읽지 못하는 천문학적인 수효의 책들 중에 내가 모르는 재미가 넘치는 책이 수없이 많다고 생각하면 그렇게 심란할 수가 없어요."  

"태어나서 처음 본 그림책부터 자기가 지금까지 읽은 책을 순서대로 모두 볼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적 없으신가요? 그 책들이 죄다 책장 하나에 순서대로 꽂혀 있어서 한 권 한 권 빼들고는 책장을 훌훌 넘겨보는 겁니다. '그래 맞아, 이 시기에는 SF에 미쳐있었지' 라든지....누구나 그런 도서관을 가지고 있다면 다른 사람의 독서 역사를 엿보는 재미도 쏠쏠할 겁니다." 

"먼저 이야기가 있었다. 그것이 아카네의 이상이었다. 우선 이야기 되어야 할, 이야기하지 않고는 배길수 없는 이야기가 있고, 작가의 존재 따위는 느껴지지 않는 픽션. 그것이야 말로 그녀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이야기다. 이야기는 독자를 위해 존재하는 것도, 작가를 위해 존재하는 것도 아니다. 이야기는 이야기 자신을 위해 존재한다."  

"진짜 평론가는 절대로 창조자가 될 수 없다는 게 내 지론이거든. 물론 평론이야말로 완벽한 창조지만." 

"좋은 글을 읽는다는 건 쓰는 것과 같으니까. 아주 좋은 소설을 읽다가 행간에 숨어있는 언젠가 자기가 쓸 또 하나의 소설을 본 적 없어? 그게 보이면, 난 아아, 나도 읽으면서 쓰고 있구나 하고 생각하거든. 또 행간에서 그런 소설을 볼 수 있는 소설이 나한테는 좋은 소설이고." 

"푹 빠져셔 읽고 있던 대장편이 끝나버리면 마음이 쓸쓸하다고." 

"이 얼마나 싸구려 '견본' 밖에 갖지 못한 여자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