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벌레들 조선을 만들다
강명관 지음 / 푸른역사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몇 권 읽지는 않았지만, 나는 요즘 강명관 교수의 책에서 새로운 역사를 만난다. 교과서가 가르쳐 주지 않았던 신선함(?)을 제공하는 그의 책읽기가 즐겁다. 단지 흥미 차원을 넘어 옛일을 통해 오늘을 생각케 하는 실마리를 툭 툭 던져주는 그의 생각틀 -그의 표현을 빌리자면- 또한 그의 책이 가지는 힘이다. 거기다 문체 또한 매력적이다. 현대적이면서도 옛스럽고, 간결하면서도 풍부하다. 저자 또한 만만찮은 책벌레임을 짐작케 한다. 암튼 느낀 점 몇 가지.   

1. 이번엔 책의 역사다. 조선시대 책의 인쇄, 유통과 그 소비자(?)들의 유별난 책사랑과 책읽기를 시대순 인물들을 통해 풀어낸다. 일단 내용을 떠나 디자인이 고풍스럽게 멋지다. 빛깔 고운 표지 뿐 아니라 책 하단에 인물에 대한 간략한 이미지와 함께 도움말을 달고 - 금속 활자 만드는 과정, 활자 변천 과정에 대한 삽화는 이해에 매우 도움 되었고, 이덕무의 풀죽은 듯한 뒷모습은 서자란 신분적 한계에 대한 슬픔을 표상하는 듯 하여 찡하다. - 세로 가장자리에도 앞에서 보면 '조선을 만들다' 뒤에서 보면 '책벌레들' 이 나타나도록 세심하게 인쇄했다. 한 마디로 예쁜 책이다. 뭐 디자인은 여기까지 하고... 

2. 지금과 달리 가진 자의 전유물이었던 "책". 지식과 정보는 소수 권력자에 의해 독점 되었다. 지금도 뭐 고급 지식과 정보는 그렇겠지만 말이다. 내가 과연 조선시대에 태어났다면? 경화세족은 고사하고 마 양반으로도 태어날 자신 없다. 거기다 지방에서 여자로 태어난다면? 십중팔구, 종년 삼월이나 잘해야 소작농의 아내쯤 될텐데 언감생심 책이라니 꿈이나 꾸겠나. 그래서 일단 감사했다. 지금 태어난 것을. 적어도 원하는 책은 맘대로 볼 수 있지 않나...   

3. 이건 뭐 중국, 정확하게 베이징 빼고는 이야기가 안된다. 하긴 조선 전기엔 책 자체가 온통 주자학에 관한 것이었고, 사상의 본물 자체가 중국이니 말해 무엇하랴. 후기에도 서학이나 천주학뿐 아니라 모든 신학문이 중국을 통해 유입되었으니 여기서 또 한 번 좌절. 이거 뭐 옛날엔 중국, 오늘은 미국 없인 되는 게 없구만. 양놈들이나 떼놈들이나 콧대가 높지 않을래야 않을 수 없지않나? 인정할 수 밖에 없으면서도 씁쓸하다. 촌스러운 민족주의의 발로인가? 아무튼, 베이징에 유리창이 아직도 있다 하니 기회되면 꼭 한 번 들러보리라 다짐하며...  

4. 역시 세상은 엘리트들의 것인가? 천재들의 화려한 이력을 읽다보니, 심정적으로는 아니라고, 민중의 힘이란게 있지 않느냐고, 내가 아직 뭘 몰라서 그런 생각을 하는 거라고 무던히 부정하지만 이런 저런 책을 읽을수록 역시나 소수의 엘리트들에 의해 세상은 작동하고, 나같은 사람들은 그들에 비하면 그저 벌레같은 삶을 살다 죽을 뿐이라는 생각만 자꾸 드니, 지나친 패배주의, 열등의식인가? 뭐가 맞는지 모르겠다.  

5. 한국인에게 긍정적 이미지로 각인된 허균이나 정조에 대한 저자의 새로운 견해를 읽는 재미도 쏠쏠하다. 신채호에 대한 평가도 고미숙과는 좀 다른 듯해 흥미로웠다. 역시 만가지 세상에 만가지 사람들의 만가지 생각이다.  

6. 자기 방에 있는 책만 다 읽더라도 우리나라 모든 교수들이 세계적 석학이 될꺼라는 자조섞인 농담이 인상깊다. 내 방에 있는 책만 다 읽더라도 적어도 벌레처럼 살다가 죽진 않을 수 있을까? 

7. 무조건 책은 읽어야 하는 것이고, 책을 읽지 않는 풍조를 비판한다는 것도 일종의 폭력이 될 수도 있겠다. 하지만, 책과 책벌레들에 대한 이 책. 왠지 그 이유만으로도 정이 담뿍 가는건 어쩔 수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