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
박민규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09년 7월
평점 :
흠. 이번엔 연애소설이라. 박민규가 쓰는 연애 소설은 어떻게 다를까 하지만 뭐 거기서 거기겠지 하는 느낌으로 실로 간만에 연애소설을 읽었다. 그런데, 연애 소설 읽는게 왜 이리 힘든지. 가능하면 내리 쭉 달아 읽는 평소 습관과 달리, 읽는 간간이 의도적인 휴식(?)을 취했다. 인터넷도 하고, 먹다 남은 닭도 먹고, 오지 않는 쪽잠을 청하기도 하는 식으로. 그렇게 흐름을 끊어가면, 좀 덜 감정적이 될까 싶어서.
뭐꼬 이거, 껍데기만 연애소설이지, 추적 60분, ' 대한민국의 물질만능주의, 외모지상주의 고발!!!' 뭐 이런 거 아이가, 겨우 19살 짜리들의 사랑이 뭐 이리 무겁고 칙칙하노, 온 천지에 감정 과잉이네, 소설 쓰고 싶은 남자와 친구, 연인인 여자, 그 남자의 죽음과 남겨진 자들의 결합, 맥주, 오므라이스, 팝송과 클래식, 생일, 와 자꾸 무라카미가 생각나노, 어쨌든 박민규 글빨 하나는 쥑이네 등등등.. 역시나 의도적인 꼬투리를 잡아가며 방어적으로 읽었다. 그러면 좀 덜 감정적이 될까 싶어서.
소설이 현실에 돋보기를 너무 가까이 들이대면 고통스럽다. 비현실적이네 개연성 없네 하며 비판하면서도, 어느 정도의 거리는 유지해 주기 바라는 이율배반은 뭐란 말인가. 더구나 그 현실이라는 것이 남이 아닌 나의 현실일때, 더구나 그 현실이 내겐 상처일때, 그 고통은 배가 된다. 땀구멍까지 생생하게 잡아내는 고화질 테레비가 시청자에겐 미덕이지만, 늙은 여배우에겐 잔인함이 되듯이.
쉽게 말하자. 나도 못생기고 뚱뚱해서 마음 놓고 사랑하지 못했던 여자였다. 부러워하고 부끄러워하는 좆밥 중 한 명이었다. 수술도 하고 사랑도 하고 결혼도 하고, 좆밥의 시절은 잊어버리고 잘 살고 있었는데, 이 책이 난데없이 다 붙은 상처 따까리를 다시 떼냈다. 그래서 냉정을 잃었고 울었다.
<하하하>에서 이순신이 뭐 이렇게 말했던 것 같다. "슬프고 어두운 걸 조심해. 그게 가장 나쁜거야" 모든 문장에 밑줄을 치고, 모든 페이지를 접고 싶었던 이 책. 아파서 오래 기억에 남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