핑퐁
박민규 지음 / 창비 / 200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덮고 생각했다. 박민규, 뭔가 무지하게 할 말이 많았던 모양이다. 이 답답한 세상과 답답한 인류와 답답한 자신에 대해서 말이다. 탁구로 치자면 드라이브, 스매시, 푸쉬, 쇼트 등 다양하고 현란한 기술로 정신없이 치고 때려 독자의 얼을 빼놓는 느낌이랄까. 국가대표급이다. 어떻게 리시브해야 할까. 흠...  

사람들이 아니 내가 왜 박민규에 반했는지 이유를 생각해 봤다. 일단 표현 발상 모두 신선하고 재밌다. 그리고 이제는 잊혀진 삼미야구라든지, 신화사 탁구공이라든지, 유리겔라라든지 뭔가, 박민규 세대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시대적 정서를 환기시켜, 공감대를 증폭시키고 그 속에서 소속감 그리고 향수를 느끼게 해준다. 주인공들은 나와 같은 보통 사람들이거나 나보다 모자란 사람들이라 거부감도 없다. 그들을 통해 내가 세상에 대해 느끼는 막연한, 도무지 뭐라고 표현하면 좋을지 모를 복잡 다단 미묘한 감정들 - 억울함 + 무력감 + 회의 + 반항 + 자책감 + 기대 + 포기 + etc, etc...- 을, 한 두 문장  길어야 한 단락 정도로 정확하게 집어낸다. 거기서 느껴지는 카타르시스, 아마 그것이 가장 큰 이유 아닐까?  

은하영웅 전설과 카스테라에서 이미 맛 보았던 그의 퐌타지가 핑퐁에서는 똑 떨어지는 느낌으로 세련되게 잘 쓰였다. 내가 이미 어느 정도는 그의 스타일에 길이 들어서인지 몰라도, 탁구계라든지, 세끄라탱이라든지, 탁구치는 쥐와 새는 전혀 어색하지 않았고 주제를 효과적으로 잘 표현했다. 어떤 스매시를 해도 마치 기계처럼 리씨브를 하고 빠르지도 않은 공을 같은 지점에 언제나 어김없이 기계적으로 떨어뜨려, 끝없는 랠리를 통해 상대를 지쳐 나자빠지게 하는, 스키너 상자의 새와 쥐를 보면서 순간 소름 돋는 느낌이랄까? 그런 걸 잠시 느꼈다.   

어떻게 탁구 하나로 세상과 인간과 소통에 대한 이렇게 많은 이야기들을 끄집어 낼 수 있을까? 작가가 위대해 보인다. 삼미가 내게, 한바탕 울고 난 후 다시 뭔가를 시작할 수 있을 것 같은 따뜻한 위로와 힘을 주었다면, 핑퐁은 다소 어둡고 무기력한 갑갑함을 준다. 주인공들은 자신의 의지도 의견이랄 것도 없는 조건 반사의 삶을 살아가고, 이유도 모르는 우연 속에서 치르게 된 탁구 시합도 상대의 과로사로 인해 게임 오바된다. 그들의 무기력함이 오히려 더 현실적이라, 삼미와는 다른 그들의 마지막 선택이 왠지 더 좋았다는.  

마지막으로 몇 가지 아쉬운 점. 이 책은 장편이라기 보다는 여러 편의 단편이 그냥 묶여 있는 느낌이다. 실제로 존 메이슨의 소설이 세 편이나 등장하고, 치수와 마리, 모아이와 할아버지, 헬리를 기다리는 사람들, 아내를 빌려주는 에스키모, 세끄라탱과 학생회장등 다양한 에피소드들이 등장하며, 그 하나 하나가 다 재밌고, 각각 의미있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그러나 과유불급이랄까. 샛길로 살짝 살짝 빠져도 그 나름의 맛이 있지만, 훌륭한 샛길이 너무 많다 보니, 최종 목적지가 주는 재미가 반감된다. 아무래도 하고 싶은 이야기가 너무 많았나 보다. 또 한가지, 삼미에서 그랬듯, 작가는 너무 자주, 직접적으로 말한다. 등장인물의 입을 빌어.   

쓰다 달다 해도, 무엇보다, 실망하지 않고 계속 기대감을 갖게 하는 작가를 만났다는 게 좋다. 그가 한국 작가라는게 더 좋고.             

*책 접기 

"끝끝내 버튼을 누르지 않았던 까닭은-치수 때문도, 혹시 남아 있을 내 삶의 희망 때문도 아니었다. 눈물을 닦으며 다시 수업에 열중할 마흔한명의 <다수인척>때문이었다. 스스로는 단 한번도 나를 괴롭힌 적이 없다고 믿고 있는 그러니까, 인류의, 대표의, 과반수. 조용하고 착한, 인류의 과반수. 실은 더 잘해주고 싶었을, 인류의 대다수"   

"너도, 그리고 나도 실은 그래서 인류의 모든 걸 지녔다고 말할 수 있지. 디디티를 살포하던 인간이 그 결과를 알았을까? 에스키모는, 자신이 지닌 결과의 원인을 알 수 있을까? 즉 인간이란 누구나 인류의 원인이자 결과란 얘기지. 그리고 서로를 모르는 거야. 말이 돼?" 

"인간의 해악은 9볼트 정도의 전류와 같은거야. 그것이 모여 누군가를 죽이기도, 누군가에게 상처를 주기도 하는 거지. 그래서 다들 다수인 척 하는거야. 이탈하려 하지 않고, 평형으로, 병렬로 늘어서는 거지. 그건 길게, 오래 생존하기 위한 인간의 본능이야. 전쟁이나 학살은 그 에너지가 직렬로 이어질 때 일어나는 현상이지. 전쟁이 끝난 후에도 수만 볼트의 파괴자가 남아 있을까? 학살을 자행한 것은 수천 볼트의 괴물들일까? 그렇지 않다고 생각해. 전쟁이 끝난 후에 남는 건 모두 미미한 인간들이야. 독재자도 전범도 모두가 실은 9볼트 정도의 인간들이란 거지. 요는 인간에게 그 배치를 언제든 바꿀 수 있는 이기가 있다는 거야. 인간은 그래서 위험해. 고작 마흔 한 명이 직렬해도 우리 정도는 감전사 할 수 있는 거니까. 그래서 생존해야 해. 우리가 죽는다 해서 우릴 죽인 수천 볼트의 괴물은 발견되지 않아. 직렬의 전류를 피해가며, 모두가 미미하고 모두가 위험한 이 세계에서 그래서 생존해야 해. 자신의 9볼트가 직렬로 이용되지 않게 경계하며, 건강하게 탁구를 치면서 말이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