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이야기의 매력 1
브루노 베텔하임 지음, 김옥순.주옥 옮김 / 시공주니어 / 199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간단하게 말하면 정신 분석학과 아동 심리학의 관점 -주로 분리불안, 오이디푸스 컴플렉스, 성적 발달, 이드,에고,슈퍼 에고의 통합- 에서 분석한 옛 이야기의 효용에 관한 책이다.  

문학 이론서이니 만큼, 1편에서는 학문적 이론이 주가 되고, 일부 같은 내용이 반복되어 살짝 지루하기도 했지만, 나의 유년기를 반추하며 읽다 보니 그럭저럭 읽을만 했다. 다 커버린 나에게, 옛이야기란 더 이상 매력적이긴 커녕, 그 천편일률성 - 전형적 인물, 비현실적 이야기, 권선징악의 교훈, 해피엔딩의 결말- 으로 오히려 삐딱한 시선의 대상이었는데, 고참이 똥을 싸도 다 작전이라고, 나름 이유가 있었더군. - 만약 작가의 주장과 기계적 분석이 전적으로 옳다면- 환상과 현실 사이에서 옛 이야기는 일종의 다리 역할을 한다. 아이는 무의식 속의 억압된 본능과 욕구를 환상(옛이야기)속에서 죄의식 없이 해소한 후, 가짜 다리(?) 너머의 현실로 돌아오면 모든 일이 잘 되리라는 강한 자신감과 확신을 갖게 된다. 내가 백설공주나 신데렐라를 읽고 그런 느낌을 받았었는지 아무리 되짚어 봐도 답은 오리무중이지만, 뭐 무의식적으로 그런 영향을 미친다고 하니 믿을 수 밖에.    

'환상'에 대해 새삼 생각해 본다. 부모에게서 버려질지도 모른다는, 형제들과 경쟁해서 살아 남아야 한다는 아이들의 무시무시한 공포와 압박 못지 않게 어른들도 현실이 무섭다. 가족도 애인도 배우자도 모두 떠나고 언젠가는 결국 혼자 남겨 지리라는 원초적 불안 -사실 나는 이게 너무 무섭다- 달리기에서 발 한 번 삐끗하면 영원히 경쟁자들을 따라잡을 수 없을거라는 어마무시한 공포를, 죄의식 없이 표출할 만한 환상의 공간이 어른들에게도 필요하지 않나. 이야기의 끝에 가면 주인공의 마력은 사라지지만 결국 행복한 현실로 돌아오고, 돌아온 현실에서 임무 수행을 더 잘 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그런 환상적인 퐌타지 말이다.  

다 큰 어른들도 왜 그토록 '이야기'에 집착하고 열광하는지, 환상,회복, 도망 그리고 위안이라는 요소를 적절히 버무린 이야기가 왜 인기가 있는지 생각해 본다. 자신만의 퐌타지를 가지고 있다는 건 참 중요한 일인 것 같다. 나의 퐌타지는 뭐가 될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