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님
황석영 지음 / 창비 / 200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근대 조선에 찾아온 맑시즘과 기독교라는 두 손님을 맞이 하면서 벌어지는 동족간 학살. 작가는 그 속에서 죽어간 넋들, 그리고 살아서 꼼보가 된 오늘의 독자들을 소설이란 한 공간 속에 모두 불러 모으고 한 바탕 씻김굿을 치룬다.  

사실 이 책은 소설이라기 보다 한 편의 역사 리포트에 가깝다는 느낌이다. 관련 역사서를 읽는 것 보다, 이 한 권의 소설을 통해 보다 더 쉽고 생생하게, 해방 후 조선의 기독교, 공산주의, 민간인 학살과 같은 비극의 시대상에 접근할 수 있었다.  

그리고 바로 이 점이, 나에겐 이 책의 미덕이자 동시에 흠으로 작용했다. 왜냐면 이 작품은 르포가 아니라 소설이니까. 한 마디로, 모든 것이 너무 작위적이고 전형적이다. 탈출과 귀환, 용서와 화해라는 틀 속에서 성공적인 씻김굿이라는 결말을 향해 모든 사건과 인물들이 정해진 트랙을 일사분란하게 달려간다. 이 비극의 가장 큰 가해자이자 피해자인 요한은 요섭이 고향을 방문하기 전 갑자기 죽고, 고향의 방문지마다 넋들은 적절한 타이밍에 나타나 이야기를 풀어 놓는다. 마지막엔 산자와 죽은자의 회의를 방불케 하는 주술적, 초월적 마무리가 기다린다.  

이런 방식을 택한 작자의 의도는 충분히 이해하나, 이런 뻔한 것(?) 말고 뭔가 좀 다른 방식으로 접근 했다면, 혹은 역사의 비극 속에 던져진 무기력한 인간 본성에 대한 좀 더 깊이 있는 탐색이 있었다면, 대미를 장식하는 용서와 화합도 좀 더 설득력있게 다가오지 않았을까? 역사적 사실에 대한 지식 획득 그 이상의 울림은 느끼지 못했다. 전체적으로 황석영이라는 이름 값에 못 미치는 작품이랄까.  

종교의 이름을 팔아 자행된 인간의 잔인함과 광기에 대해 생각해 본다. 인간은 정말 그런 존재란 말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