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만 보는 바보 진경문고 6
안소영 지음 / 보림 / 200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사 시간에 배운 기억은 없는 것 같은데, 역사 관련 책에선 종종 등장하곤 하던, 나에겐 다소 낯선 인물, 이덕무. 이 책은, 뛰어난 능력에도 불구하고 서얼이라는 출생 한계 때문에 미리 좌절 해야만 했던 이덕무와 그의 벗들 그리고 스승들의 책 사랑, 벗 사랑, 백성 사랑에 대한 아름다운 이야기이다.  

궁금한 것은, 이 책의 내용이 이덕무의 집필을 작가의 재구성 없이 통째로 그냥 번역만 한 것인지, 사실에 작가의 상상력을 덧입혀 지어낸 글인지 하는 것이다. 청소년이 읽기 쉽게 쓴 인물 역사서 같은 느낌을 감안하면 아무래도 후자가 아닐까 짐작 하면서도, 만약 이 책의 한 문장 한 문장이 실제로 이덕무의 일기나 편지, 자서전을 발췌하여 그대로 옮긴 것이라면, 즉 작가에 의해 적절히 포장된 이덕무가 아닌, 있는 그대로의 이덕무를 만날 수 있었다면, 그와 그의 매력적인 벗들에게 훨씬 더 깊이 빠질 수 있었을 것 같다.  

근 400년이라는 시차를 뛰어 넘어, 책을 사랑 하고 벗을 사랑하는 이덕무의 아름다운 시간을 나눠 가지는 동안 따뜻한 행복감이 밀려왔다. 그 행복감의 원천은 뭘까? 바보처럼 뭔가(책)에 미친 사람들의 순수한 열정, 그것을 공유하고 교감할 수 있는 사람들과의 커뮤니티. 그 완벽한 이상을 의사체험하면서 느낀 대리만족 때문이었을 것이다. 덧붙여 한자를 제대로 공부해 보고 싶은 욕구가 생길 만큼, 작가의 유려한 우리말 번역을 읽는 재미도 쏠쏠했다. 단지, 책 보고 풍류 즐기는 남자들 옆에서 바느질하고 다듬이질 하던 아내와 어머니의 모습에 잠시 편치 않았다면, 너무 융통성 없는 건가. 어쨌든 나도 책더미 속 좀벌레로 늙어가고 싶다.  

*책 접기  

"책을 대할 때마다 이렇게 눈과 귀,코,입 등 내 몸의 모든 감각은 깨어나 살아 움직인다. 자신과 연결된 신경과 핏줄을 건드리고, 피가 도는 그 흐름은 심장까지 전해져, 마침내 두근두근 뛰게 한다." 

"붉다는 그 한 마디 글자 가지고, 온갖 꽃을 얼버무려 말하지 말라. 꽃술도 많고 적은 차이 있으니, 꼼꼼히 다시 한 번 살펴봐야지." 

"유득공의 마음 속에는 우물 하나가 있는 것 같습니다. 어떤 근심 걱정도 한 번 담갔다 하면 사뿐하게 걸러져 밝은 웃음으로 올라오게 하는 우물 말입니다." 

"하늘 아래 가장 고귀한 우정은 가난할 때의 사귐이라 합니다. 벗과의 사귐은 술잔을 앞에 두고 무릎을 맞대고 앉거나 손을 잡는 데에만 있지 않습니다. 차마 말하고 싶지 않은 것도 저절로 말하게 되는 것, 여기에 벗과의 진정한 사귐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