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의 건축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이레 / 200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보통의 책 중, 아니 어쩌면 최근에 읽은 책을 통털어, 내겐 가장 사치(?)스런 책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잠시 했다. 집값이 곧 집주인의 값이 되고, 아파트 브랜드와 평수를 제일 먼저 따지는 세상에서, 기억과 이상의 저장소 운운할 정서적 여유가 내게 있을런지. 과연 그런 집을 지어줄 능력 있는 건축가를 고용하여 나만의 집을 지을 경제적 여유 또한 내게 있을런지. 외국엔 멋진 건물들도 참 많더만, 왜 내 주위엔 니 멋 내 멋 없는 그저 그런 스탈의 비슷한 콘크리트 건물들 뿐인지. 뭐 이런 생각들에 미치자, 건축에 대한 신선하고 멋진 작가의 미학적/심리적 접근도 내겐 그저 일종의 귀신 씨나락 까먹는 소리였다고 하면 오바인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건물의 미덕 부분에 제시된 '아름다움의 법칙'은 좋았다. 그 법칙들이 단순히 건축물을 넘어 인간의 삶에도 적용될 수 있는 보편적인 것이란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자기 내부의 다양한 요소들이 질서있게 어울린 삶, 내적 대립물들이 조화를 이룬 균형 잡힌 삶, 자신이 넘어선 난관을 강조하지 않는 겸손함을 지닌 우아한 삶, 자신의 각 부분과 조화를 이룰 뿐 아니라, 그 배경과도 조화를 유지하는 일치의 삶, 내가 누구인지, 무엇에 만족하는지 끈기 있게 캐물을 수 있는 자기 인식이 있는 삶. 이런 삶이라면, 그 삶, 그 인간 자체가 하나의 아름다운 건축물이 될 수 있지 않을까?  

심리, 철학, 역사, 미술, 이젠 건축까지 건드리는 오지랖 넓은 밥상 위에, 평범한 일상 속에서 무심히 낚아 올린 듯한 철학적 사유라는 물고기- 아쉽게도 이번엔 월척은 아닌 듯-를 솜씨 좋은 언어로 차려낸 보통표 특유의 요리 - 이번엔 좀 럭셔리한-를 맛보며, 이젠 나도 '건축물이 들려주는 이야기'를 들어 보려는 우아한 시도를 좀 해봐야 겠다고 생각했다. 삼라만상 모든 것에 영혼이 있다고 누가 그러지 않았나?       

*책 접기 

"많은 아름다운 것들은 고통과 대화할 때 그 가치가 드러난다. 결국 슬픔을 아는 것이 건축을 감상하는 특별한 선행조건이 되는 것이다." 

"우리에게는 우리 자신의 바람직한 모습을 바라보게 해주고, 중요하면서도 쉬이 사라지는 측면들이 살아 있도록 유지해줄 방이 필요하다."  

"진정한 욕망은 아름다운 것을 소유하기보다는 그것이 구현하는 내적인 특질을 영원히 차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개인적으로, 또는 사회가 전반적으로 갖지 못한 특질들을 집중적인 형식 안에 포함하고 있는 것을 찾아낼 때마다 그것을 아름답다고 부르게 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예술의 걸작은 여전히 우연한 일처럼 보인다. 예술가들은 가끔씩만 불을 피우는 데 성공하는 원시인같다. 그 성과의 기초를 남들에게 전달하기는 커녕, 자신이 어떻게 불을 피웠는지도 헤아리지 못하는 것이다. 예술적 재능은 칠흑처럼 검은 밤을 가로질러 줄무늬를 그리는 불꽃과 같아, 보는 사람들에게 경외감을 불러일으키지만 몇 초가 지나면 꺼지고 어둠과 갈망만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