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뒷골목 풍경
강명관 지음 / 푸른역사 / 200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고교 시절 내내 역사를 공부하고, 'E.H Carr, 역사란 무엇인가?' 같은 교양 수업도 들었건만, 정작 역사에 대한 확실한 개념 같은 건 없었다. 이 책에서 제일 크게 건진 게 있다면, 역사에 대한 나만의 거창한 정의까지는 못 되더라도, 뭔가 '감' 정도는 잡은 것이 아닐까 싶다. 혹시나 빵구나, 누가 문학 작품을 읽는 이유를 물어 보면 '사람 공부'라고 대답하겠다고 생각 했는데, 저자도 역시 같은 맥락에서 역사를 정의 - '현재의 인간은 시간적 변화의 산물이며, 역사학은 바로 변화하는 인간을 해명하는 학문이다'- 한 대목에서 바보 도 터지는 소리 비슷한 게(?) 나왔다. 역사도 변해 가는 시간 속에서의 사람에 초점을 맞춘, 일종의 사람 공부라는 말 아니겠나.   

'시비를 던지다'와 '조선 사람들, 혜원의 그림 밖으로 나오다'에 이은 세 번 째 책이라, 교과서에서 알려 주지 않은, 역사에는 결코 기록되지 않을, 나같은 보조 출연자들(?)의 삶을 들여다 보는 신선함은 덜 하였으나, 전작들이 살짝 쌀짝 맛배기만 보여 줬다면, 이번 책은 더 다양한 분야를 세밀하게 파고드는 본격적인 맛이 있었다. 개인적으로 '모이면 도적이 되고 흩어지면 백성이 된다/군도와 땡추'편이 제일 재밌었는데, 반조선적, 반체제적 조직으로서 군도와 승려들이 모종의 협력 관계에 있었으며 -쌍계사와 통도사가 이들의 소굴 이었다니, 통도사에서 장물을 분배하는 모습이 상상이 되는가- 엄격한 입당 심사와 조직 관리의 규율로 수 백 년 동안 조직이 유지 되었다는 것도 정말 말 그대로 금시초문이었다. 더구나 그 조직원들이 포도청과 군대의 요직을 차지하고 있었다는 데는 뭔가 극적인 맛도 있다. - 오늘날 간첩이 국가 정보원에서 근무하는 것과 마찬가지 아니겠나?-    

그 외에도, 인간의 다양한 욕망들이 제대로 된 출구를 찾아 적절히 해소되지 못했을 때, 어떤 사회적 현상들로 나타나는지에 대한 고찰이 흥미롭게 기술된다. 술 마시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 고기 먹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 가능한 많은 성적 대상을 확보 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 출세 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 소비 하고 유희 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 간단히 말해, 인간 누구도 이런 놀고, 먹고, 싸고, 으스대고 싶은 욕망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다. 그러기에, 이런 욕망들을 적절하게 콘트롤 해 줄 수 있는 사회의 우아한(?) 기능을 필요로 하는 게 아닐까?                 

*책 접기  

"노사장의 명령에 의해 책임 유사가 후보자에게 접근한다. 후보자의 기회를 탐색하여 술,미색,재물등으로 극진히 환대하여 친형제 이상으로 가까워진 뒤 어느 늦은 밤 어떤 집 문전에서 잠깐 기다리라 하고는 사라진다. 이내 포교로 변장한 자가 후보자를 포박하여 70여가지 악형을 가하며 도둑으로 모는데, 스스로 도둑이라고 실토하면 그 자리에서 죽여버리고, 끝내 아니라고 고집하면 결박을 풀고 따로 은밀한 장소에서 술과 고기를 먹인뒤 입당식을 거행한다." 

<찾아 읽고 - 서울의 게토, 도살면허 독점한 치외법권 지대, 반촌>

요즘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를 재밌게 보던 차에 주요 배경이 되는 반촌이 강명관 교수의 책 어딘가에서 다루어졌던 기억이 나, 다시 찾아 읽었다. 처음 읽을 때도 생경한 지명이었던지라, 그 기원은 기억나지 않았고, 성균관과 관련된 치외법권 지대 정도로만 어렴풋이 기억 했는데, 드라마를 보고 다시 읽어보니 확실히 더 재미있다. 송옥숙이 왜 구지 송도 사투리를 구사하는지, 가리온의 직업이 왜 도살자인지 하는 등의 디테일에 신경 쓴 점이 드라마를 더 값져 보이게 한다. 뜬금없지만 강명관 교수의 책이 참 좋다는 생각을 다시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