촘스키, 누가 무엇으로 세상을 지배하는가
레미 말랭그레 그림, 드니 로베르 외 인터뷰 정리 / 시대의창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인터뷰 속에, 지식인의 역할, 표현의 자유, 자본 주의 폐해, 거대 자본, 다국적 기업, 민주주의 위기, 언론 조작, 미국의 야만성등 여러 분야를 아우르며, 세상을 바라 보는 저자의 날카로운 시선을 보여준다. 저자 표현을 빌리자면, 이 책은 내게, 올바른 교과서(정보)를 접하고도 -사실 그러지도 못했지만- 제대로 이해(추론)하지 못하는 칠칠맞지 못한 고등학생이, 남의 '지적 능력'을 빌려 읽은, 잘 요약 정리된 참고서 같았다고 할까. 막연하던 개념이 잡히고, 공식뒤에 숨은 원리가 보이고, 뭐 그런 느낌.  

특히, 언론 부분이 흥미로웠는데, '조작된 동의' 부분은, 개인적 경험에 비추어, 100프로 공감했다. TV 출연자는-심지어 나같은 일반인도- 분량과 성격에 상관 없이, 방송국의 대본대로 연기하는 연기자일 뿐이다. 제작진이 '방향'을 정한다. 이후로 나는 TV에 나오는 일반인 인터뷰를 믿지 않는다. 또한, 일관성(동일한 판단 원칙 적용)의 중요성. 특히 언론에 있어서는. 잊고 있었다. 아무 생각 없었다. 당장 먹고 살기 바쁘고 힘드니까 그런 것 까지 생각 못 한다. 기득권 엘리트층이 미디어, 학교를 이용하여 선전하고 쇄뇌한 목적, 그대로 된거다. 완벽한 구경꾼의 삶, 공동체의 삶에서 떨어져 나온 삶, 인위적 욕구에 집착하는 삶,   

마지막으로, 언제나 나의 고민인 부끄러운 부분까지 확 짚어 주신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대중이 혁명세력으로 발전하지 못하는 이유는 대중이 현실을 모르기 때문이 아닙니다. 값비싼 대가를 치러야 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당신이 앞장서서 기존 질서를 뒤바꾸려 한다면 그 대가를 호되게 치러야 할 것입니다."  

맨날 이런 책 읽고 서평쓰고 씨부리면 뭐하나. 구경만 할꺼면서.

*책 접기

"자본주의요? 자본주의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적어도 순수한 시장 경제의 의미에서 자본주의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비용과 위험을 공동으로 부담하는 거대한 공공 분야와, 전체주의적 성격을 띤 거대한 민간 분야가 양분하고 있는 경제 현실에 우리는 살고 있을 뿐입니다. 이런 세상은 자본주의가 아닙니다."  

"민주주의는 국민이 당사자가 아니라 방관자에 머무는 체제입니다. 일정한 시간적 간격을 두고 국만은 투표권을 행사하며 그들에게 나아갈 방향을 지시해 줄 지도자를 선택합니다. 이런 권리를 행사한 후에는 집에 얌전히 틀어박혀 있어야 합니다. 주어진 일에 열중하고 벌어들인 돈으로 소비하고 텔레비젼을 시청하며 요리나 하면서 지내야 합니다. 국가를 성가시게 굴어서는 안 됩니다. 바로 이런것이 민주주의입니다." 

"한 사람의 이름이 붙여진 것은 무조건 의심해 보야 한다는 것이 내 생각입니다. 마르크스주의나 프로이즈주의처럼 사람의 이름이 붙여진 학설은 일종의 종교로 미화되는 경향이 없지 않습니다. 학설이 그 인물을 신격화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사람이 문제의 학설에 접근하는 순간부터 대단한 내용이 있을 것이란 선입견에 사로잡히게 마련입니다. 그런데 물리학은 어떻습니까? 아인슈타인이란 이름으로 수식되는 물리학은 없습니다. 달리 말하면 물리학에는 아인슈타인주의라는 것이 없습니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우리와 같은 인간이었을 뿐입니다. 신이 아니었습니다. 그의 생각이라고 언제나 옳은 것은 아니었습니다. 틀린 생각도 있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