롤리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지음, 권택영 옮김 / 민음사 / 1999년 6월
평점 :
절판


작품해설에 줄거리가 상세히 나와 있어 구지 따로 정리할 필요는 없고.  

험버트가 롤리타를 발견(?)하는 부분 부터, 롤리타와 처음 성관계를 가질 때까지, 부끄럽지만, 야릇하게 흥분됬다. 별다른 야한 장면도 묘사도 없었는데, 나는 쉽게 흥분하는 스탈인가? ㅋㅋㅋ 임신한 롤리타에게 찾아가, 같이 떠나자고 애원하는 험버트의 모습은 의외였다. 어린 소녀들에게서만 애정을 느끼는 험버트의 성애욕을 생각하면, 험버트 자신이 늘 불안해 했듯, 롤리타가 나이를 먹게 되면 그 광적인 애정 또한 자연스레 식고 또 다른 롤리타를 찾아 나서리라 예상했기 때문이다. 서문대로 험버트는 끔찍하고 비열하다. 그는 도덕적인 타락자의 비열한 예다. 그는 비정상이다. 그는 신사가 아니다. 그러나, 험버트의 사랑을 인정하기로 한다. 만약 그가 <도취된 사냥꾼들>에서 롤리타를 강제로 취했다면, 욕정만을 위해 또 다른 롤리타를 찾아 헤맸다면, 이야기는 또 달라졌겠지만.      

* 책 접기  

"나는 자주 문학 작품 속의 전형을 독자가 마음에 새기듯 우리들의 친구에게도 그렇게 한다고 생각해 왔었다. 중략. 잘 알려진 인물이 소설이 진행되는 동안 이런저런 발전을 거친다 해도 그의 운명은 우리의 마음속에 새겨져 있고,  이와 마찬가지로 우리는 친구들이 우리가 그들을 위해 마련해 준 논리적이고 관습적인 패턴에 따라 움직여 주기를 바란다. 그러므로 X는 그가 늘 우리에게 들려주었던 이류 교향악과 전혀 다른 불멸의 음악을 만들 수 없다. Y는 결코 살인을 할 사람이 아니다. 어떤 상황에서도 Z는 결코 우리를 배반하지 않는다. 우릴는 그런 것들을 속으로 미리 다 정해놓고는 어떤 사람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그가 우리 생각을 얼마나 잘 따르고 있는지 확인하며 만족해 한다. 덜 만날수록 더 그렇게 된다. 우리가 정해 준 운명에서 빗나가는 경우 반윤리적이고 변칙적이라고까지 생각하단. 은퇴한 핫도그 장사가 가장 위대한 시집을 출간해 내었다고 밝혀질 경우 우리는 차라리 그 이웃을 모르는 편이 나을 뻔했다고도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