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득이 - 제1회 창비 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창비청소년문학 8
김려령 지음 / 창비 / 200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는 내내 한 편의 드라마를 보는 듯 했다. 그 만큼 등장 인물 각각의 캐릭터가 펄떡펄떡거렸다.  소설이 이렇게 웃겨도 되나? 만화보다 더 재밌네. 이렇게 궁시렁거리면서 혼자서 낄낄. 특히 난닝구 부분에서는 배를 잡았다. 다분히 작위적이긴 하나, 군데 군데 가슴 짠하게 하는 재미 이상의 무언가도 있다.  

그 재미 하나로 눈 감아 주지 못 할, 흠도 있긴 있다. 부잣집 아들인 똥주가, 외국인 노동자 쉼터로 쓰고자 교회 건물을 사 버릴 만큼의 경제력이 되는 똥주가, 왜 구지 옥탑방에 세들어 살며, 완득이의 수급품을 갈취 하는가? 완득이와 친해지고자 하는 의도적인 노력으로 애써 곱게 봐줄려 해도 뭔가 오바다 싶다. 누군지도 몰랐던 베트남 출신 어머니는 어떻게 갑자기 똥주와 연락이 되어 완득이 앞에 짜잔하고 나타나는지. 완득이 말대로 왜 완득이 주위에는 수급대상자 완득이가 도와줘야 할 지경의, 사회적 약자들 뿐인가? 아버지는 난장이, 아버지와 의동생 맺은 삼촌은 말더듬이, 어머니는 베트남 노동자다. 게다가 말 없고 쌈 잘하는 완득이를 사랑하는 윤하는 으레 그렇듯 모범생에다 부잣집 딸이다. 둘 사이를 갈라놓는 어머니가 왜 없겠나. 결론은 또 어떻나. 완득이는 킥복싱을 통해 닫았던 마음의 문을 조금씩 열어가고, 아버지는 똥주의 도움으로 교회 건물에 댄스 교습소를 차려 헤어졌던 삼촌을 불러오며, 어머니와의 관계도 회복한다. 윤하는 어머니의 반대에 굴하지 않으면서, 종군기자가 되겠다는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열심히 공부하고, 완득이도 킥복싱 시합에서 지지만 언젠가는 TKO승을 해서 관장님께 찾아가겠다며 절망하지 않는다.    

외국인 노동자, 결손 가정, 왕따, 장애인 문제등을 골고루 녹여 내고자 한 작가의 의도가 보인다. 청소년 소설이니만큼 밝은 메시지를 전달하려 했으리라. 하지만 왜 꼭 청소년 소설이라고 해서 브라이트호프해피엔딩이어야만 하는지 살짝 딴지를 걸고 싶다.  

어쨌뜬, 우울할 때 읽으라. 기분이 좋아진다.  

그리고, 똥주 같은 선생님이 현실에도 있었으면, 있다면 더 많았으면 좋겠다.  

* 책 접기 

"관장님은 싸움과 스포츠는 다르다고 했다. 상대에 대한 배려를 잊지말고 매너 있게 경기하라고 했다. 이것을 어기면 이기고도 평생 죄인처럼 살아야 한다고. 나는 싸움을 싫어한다. 아버지를 난쟁이라고 놀리지만 않았다면 싸우지 않았다. 그건 싸움이 아니었다. 상대가 말로 내 가슴에 있는 무언가를 건드렸고, 나도 똑같이 말로 건드릴 자신이 없어 손으로 발로 건드렸을 뿐이다. 상처가 아물면 상대는 다시 뛰어다녔지만 나는 가슴에 뜨거운 말이 쌓이고 쌓였다. 이긴다고 다 이기는게 아니라고? 이겨야 이기는 거지."  

"한 번, 한 번이 쪽팔린 거야. 싸가지 없는 놈들이야 남의 야점 가지고 계속 놀려먹는다만, 그런 놈들은 상대 안하면 돼. 니가 속에 숨겨놓으려니까, 너 대신 누가 그걸 들추면 상처가 되는 거야. 상처 되기 싫으면 그냥 그렇다고 니 입으로 먼저 말해버려." 

"네가 공격할 부위만 보지 말고, 상대방 움직임을 봐. 들어가는 것보다, 들어오는 거 받아치는게 더 강한 거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