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일즈맨의 죽음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18
아서 밀러 지음, 강유나 옮김 / 민음사 / 200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일즈맨으로서 강한 자부심을 가지고 평생을 일했으나 점점 힘에 부쳐 생활이 어려워지는 가운데, 자식들의 성공이 인생의 마지막 희망인 윌리, 그 옆에서 묵묵히 윌리를 격려하고 윌리와 자식들간의 불화를 중재하고자 애쓰는 아내 린다, 반항적이고 무능한데다 도벽까지 있는 큰 아들 비프, 철없는 바람둥이 둘째 아들 해피. 세일즈맨의 죽음은 이 네 가족에게 일어난 하룻밤의 이야기다. 배경이 미국이고 주인공들의 이름이 윌리니 해피니 미국식이란 것만 빼면, 한국이라 해도 별로 어색하지 않을, 익숙한 캐릭터, 익숙한 배경, 익숙한 갈등구조이다. 하물며 소위 잘 나가던 비프가 어느날 갑자기 이유도 없이 비뚤어지게 된 시초가, 우연히 목격하게 된 윌리의 바람질이라는 데야 말로해서 무엇하리. 뒤집어 생각해 보면, 내게 익숙한 드라마와 영화의 이야기 구조가 이 작품을 원형으로 하고 있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고전의 위대함이란 그런 것이니까.  

여하간에, 결국 소모품으로 버려질 수 밖에 없는 운명의 직장인, 남편의 외도, 자식에게 목매는 부모, 가족간의 불화, 해고 당한 윌리가 보험금으로 자식들 재기의 발판을 마련해 주고자 선택한 자살을 통한 어느 한 구성원의 일방적 희생까지, 역자 말대로 시공간을 초월한 보편성이 이 작품에 있기에, 그토록 유명한 희곡이 되지 않았나 한다.  

누구는 이 책을 읽고 눈물을 흘렸단다. 아마 같은 세일즈맨으로서, 윌리에게 투영된 자신에게 흘리는 눈물이지 않았을까. 나는 세일즈맨이 아니다. 그래서인가. 윌리에게 잔인하도록 냉정해 지고 싶다. 비프 말대로, 윌리 당신은 자기 자신을 알지 못했다고. 정글로 다이아몬드를 찾으러 들어가지도 못했던 용기없음, 세일즈맨으로서의 무능함, 이용가치가 없는 직원은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는 회사의 생리, 아내를 배신하고 바람 피운 자신의 부도덕성, 급변하는 세상에 대한 무딘 판단력, 자식들에 대한 지나친 기대, 그 모든 것들을 제대로 알지 못했기에 결국 죽음에 이른거라고. 전형적 아버지의 표상인 윌리에게 이토록 잔인할 수 있는 것은, 내게 그런 아버지가 없기 때문인가.  

아무튼, 너 자신을 알라. 그것이 이 작품의 주제 아닐까? 

* 책 접기 

" 윌리 : 소박하게 굴지마. 넌 항상 너무 몸을 낮춘단 말이야. 크게 너털웃음을 지으며 들어가. 초조한 얼굴 하지 말고. 분위기 좀 밝게 하려면 재미있는 얘기 몇 개 해도 괜찮아. 무엇을 말하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말하느냐가 중요한 거야. 언제나 인간미가 제일 중요해" 

"벤 : 정글을 헤치고 나오려면 위대한 사람이라야 하는 법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