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뗏목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도원의 비망록, 눈먼 자들의 도시, 도플 갱어, 눈뜬 자들의 도시에 이은 다섯 번째 주제 사라마구의 작품. 점수를 매기자면 그 중 젤 낮다. 아마도 그의 서술 방식과 환상적인 이야기엔 어느 정도 이미 익숙해져 더 이상 새로울 것도 없는데다, 수도원의 비망록이 너무 좋았던 탓고 있고, 다소 보편적이지 못한 이야기의 탄생 배경 (EU 출범??)에 아무런 사전 지식도 관심도 없을 뿐이리라. 이베리아 반도 분리라는 초유의 사태에 대처하는 스페인과 포르투칼 정부, 유럽 국가들과  미국을 풍자하고, 유럽의 비주류로서 느끼는 포르투칼의 불안과 불만 표현과, 주인공들의 환상적인 이야기가 유기적으로 잘 얽히지 못하고 내도록 겉돌면서, 이도 저도 아닌 희미한 작자의 목소리가 아쉬웠다.      

갑자기 이베리아 반도가 유럽대륙에서 분리되어 돌뗏목처럼 대양위를 표류한다. 이 분리에 연관이 되었다고 느끼는 다섯 사람 (조아나 카르다 - 느릅나무가지로 땅바닥을 긁다, 조아킴 사사 - 바닷가에서 무심코 무거운 돌을 멀리 던지다, 페드로 오르세 - 땅의 진동을 느끼다, 주제 아나이수-찌르레기 떼를 몰고 다니다, 마리아 과바이라 - 끝없이 풀리는 털실 양말을 풀다)이 서로 만나고 사랑하고 여행하다 페드로 오르세가 죽자, 그의 고향에 그를 묻은 후 다시 자기만의 여행을 시작한다는 이야기이다. 역시나 길 안내자로 개가 등장한다. 위에 말한 나만의 이유로, 읽는 동안 내내 지루했다. 어서 끝나기를 바랬다.  

*책접기 

생각해 보면 사물이나 사람이나 시작은 없다. 어느 날 시작된 모든 것은 사실 이미 그 전에 다 시작된 것이다. 바로 눈앞에 있는 예만 들더라도 이 종이 한 장의 역사를 진실하고 완전하게 규명하려면 세계의 기원들로 거슬러 올라가야 할 것이다. 여기서 기원이라고 말하지 않고 기원들이라고 말한 것은 의도적이다. 그러나 또 우리는 그 첫 기원들 역시 단순히 전환점, 어떤 진입 램프가 아니었을까 하고 물을 수도 있다. 이런 시으로 혹사를 당할 수 밖에 없는 우리의 가엾은 머리, 온갖 이유로 미쳐버릴 수 있지만, 그럼에도 이런 이유로는 미치지 않는 감탄할 만한 머리."  

"만일 언젠가자네한테 아들이 생기면 그 아들은 결국은 죽을 텐데 그건 자네가 태어났기 때문이지. 아무도 자네한테서 이 죄를 면해주지는 못해. 만들고 짜는 손이 곧 부수고 푸는 손이야, 옳은 것이 틀린 것을 만들어 내고, 틀린 것이 옳은 것을 낳지. 괴로운 사람한테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 위로로군. 이봐, 슬퍼하는 친구, 위로라는 건 없어. 인간은 위로할 수 없는 존재거든." 

"이 순간 우리는 기차를 타고 여행을 하는 것이 아니라, 아무런 제약 없이 바다를 항해하는 돌뗏목을 타고 천천히 여행하고 있다. 중략.. 삶을 바꾸는데는 한 평생이 걸리는 경우가 많다. 우리는 많이 생각하고 이것저것 재보고 망설이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곤 한다. 우리는 생각하고 또 생각한다. 우리는 원형의 운동을 하면 시간의 행로를 따라 움직인다. 중략..그러나 어느때는 딱 한마디면 된다." 

"마리아 과바이라의 말은 자존심이 기초한 규약을 정하는 데 이용할 만 했다. 할 수 있는데까지 자족적이려고 노력하라, 그런 다음에 신임을 할 만한 사람을 믿어라, 당신 자신을 맡길 수 있는 사람이면 더욱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