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잠자기 전 30분 - 내일이 바뀌는 새로운 습관
다카시마 데쓰지 지음, 홍성민 옮김 / 티즈맵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실용 서적의 효용을 무시할 수 없다. 말 그대로 실제로 써먹을 수 있는, 효과 빠른 -물론 그대로 실천한다는 전제하에- 처방전이기 때문이다. 잠자는 동안 우리 뇌에선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잠자는 시간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활용해야 하는지, 덧붙여 효과적인 학습법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다. 결론은 잠을 통해 인생의 효율성을 높이자이다. 근데 이런 효율성에 관한 책들은 왜 대부분 일본 저자가 썼을까? 문득 궁금하다. 글 읽는 동안, "시크릿"과 유사한 부분을 적잖이 발견했다. 시크릿. 과연 절대진리인가.
몇가지는, 실제로 실천해 보려 한다. 하나 아직은 보류 중, 아직 극도의 효율성이 필요한 때는 아니기에.
* 책 접기
"꿈의 정체는? 전날 (잠자기 전)의 기억의 재생. 오래된 기억과의 대조작업=>정보정리, 기억강화, 이때 뇌에서는 이미 기억한 정보와 앞으로 기억해나갈 새로운 정보를 무작위로 연결한다. 그렇게 해서 그 정보가 어떤 종류의 정보이지를 대조해 나가는 것이다. 꿈의 내용이 종종 비현실적이 되어버리는 이유는 바로 이 때문이라고"
"좋은 습관을 갖기 위해서는 목표를 눈에 보이도록 시각화 한다. 시각화한 목표를 반복해 실천한다. 어떻게 의식화된 목표를 무의식적인 목표로 만들어 가느냐가 승부를 가르는 열쇠가 된다"
"기본 규칙은 6시간 이상의 수면을 취하고 늦어도 새벽 6시에는 일어날 것"
"잠자기 전 30분의 시간은 재미나고 신나는 일에 써야 한다"
"포인트 공략 독서법 - 단락의 처음과 마지막 문장만을 읽는다"
"교재를 읽을 때 늘 왜, 어째서, 어떻게 하고 스스로 묻고 대답하면서 읽어가는 것이다"
"한 줄 일기로 하루를 바꾼다. 오늘 기뻤던 일, 오늘 잘한 일, 오늘 감사한 일"
"잠자기 전 30분에 상상한 정보는 그대로 뇌로 보내져서 잠재의식 속에 새겨진다. 장래 이렇게 되고 싶다고 생각하는 자신의 미래상을 명확히 상상할 수 있다면 뇌는 그것이 현실인 것처럼 반응하고 그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