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미 슈퍼스타즈의 마지막 팬클럽
박민규 지음 / 한겨레출판 / 200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같은 책이라도 언제 읽느냐에 따라, 같은 사람이라도 어떤 경험치를 가지고 읽느냐에 따라 독서결과는 확연하게 달라진다. 아마 이 책을 지금 읽지 않았더라면 내 인생의 책 중 한 권으로 꼽기는 힘들었으리라.  

작가의 재기발랄함. 번뜩이는 재치와 유머. 때로 낄낄대며 때로 맘 뻑적지근하게, 120% 몰입해서 읽었다. 재미있다. 그러나 결코 가볍지 않다. 누구는, 뒷심부족으로 후반부에 그 재미가 떨어진다 했지만, 만약 이 책이 재밌는 코드로만 일관했다면 나에게는 오히려 그저그런 심심풀이용 소설이 되었으리라.  

흠이 전혀 없진 않다. 주인공의 실직과 때맞춰 일본에서 돌아온 조성훈, 조르바 및 이전 회사 동료와의 억지스런 재회, 삼미야구에 대해선 알지도 못하는 피시방 겜돌이등을 모아 팬클럽을 결성하는 과정에서의 개연성 부족 등 - 도대체 어떤 돈 많은, 그것도 일본 사람이 삼미의 야구에 반해 정신적 물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수 있으며, 삼미의 그 엄청난 패배가 삼미 야구의 완성을 위해 의도된 것이라는 판단 근거는 무엇인가 - 주인공의 갑작스런 이혼한 전처와의 재결합과 임신. 급 해피엔딩의 결말 또한 맘에 들지 않지만, 잊혀진 삼미를 다시 불러내 그 속에 소위 삼미야구정신을 지루하지 않게 녹여낸 작가의 역량이 부럽기만 하다.    

이 책이 나를 따뜻이 위로했고, 그러면서 난 조금은 더 강해졌다.   

삼미가 그랬거나 말거나,  

삼미의 야구가 <치기 힘든 공은 치지 않고, 잡기 힘든 공은 잡지 않는다>이거나 말거나,  

나도 나 자신의 야구를 완성하고 싶다.

   

*책 접기 

"그랬다. 소속이 문제였다. 소속이 인간의 삶을 바꾼다"  

"소속의 슬픔이란 그런 것이다. 이른바 가장 우수하다는 평을 듣는 집단에서도 이 소속의 콤플렉스 앞에서 자유로운 인간은 없었던 것이다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 사실 그래서 인간은 절대 평등할 수 없다"

"플레이는 오직 선수들의 몫이다 물론 중요한 사항은 아니겠지만, 어쨌거나 말이다" 

"다들 돼지발정제를 마신 것처럼 땀을 흘리고 숨소리가 거칠어져 있어. 아무래도 놈들이 원하는건 돈과의 교미가 아닌가 싶어. 이미 마신 이상은 그 끝을 보지 않을 수 없는거지. (중략) 분명 누군가가 우리에게 그걸 먹였더. 우리가 마셔온 물에, 우리가 먹어온 밥에, 우리가 읽는 책에, 우리가 받는 교육에, 우리가 보는 방송에, 우리가 열광하는 야구 경기에, 우리의 부모에게, 이웃에게, 나, 너 , 우리, 대한민국에게...놈은 차곡차곡 그 약을 타온 거야. 너도 명심해. 그 5분이 지나고 나면 우리도 어떤 인간이 되어 있을지 몰라" 

"세계는 구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구성해 나가는 것이었다"  

"그건 <치기 힘든 공은 치지 않고, 잡기 힘든 공은 잡지 않는다>야" 

"시간이 없다는 것은, 시간에 쫒긴다는 것은 돈을 대가로 누군가에게 자신의 시간을 팔고 있기 때문이다. 돌이켜 보니 지난 5년간 내가 팔았던 것은 나의 능력이 아니었다.그것은 나의 시간, 나의 삶이었던 것이다. 알고보면 인생의 모든 날은 휴일이다." 

"그저 달리기만 하기에는 우리의 삶도 너무나 아름다운 것이다. 라는 생각을 했다. 인생의 숙제는 따로 있었다. 나는 비로소 그 숙제가 어떤 것인지를 어렴풋이 느낄 수 있었고 남아 있는 내 삶이 어떤 방향으로 흘러가야 할지를 희미하게나마 짐작할 수 있었다. 그것은 어떤 공을 치고 던질 것인가와도 같은 문제였고, 어떤 야구를 할 것인가와도 같은 문제였다. 필요 이상으로 바쁘고, 필요 이상으로 일하고, 필요이상으로 크고, 필요 이상으로 빠르고, 필요 이상으로 모으고, 필요이상으로 몰려 있는 세계에 인생은 존재하지 않는다. 진짜 인생은 삼천포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