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야망이 아니라 열망을 논하는 책이다. 시카고대학교 철학과 교수인 애그니스 칼라드(Agnes Callard)가 강조했듯이, 야망은 당신이 달성하고자 하는 결과다. 열망은 당신이 되고자 하는 사람이다.
얼마나 많은 돈을 벌고, 얼마나 많은 직함을 얻고, 얼마나 많은 상을받는지가 관건이 아니다. 그처럼 지위를 나타내는 상징물들은 개개인의 발전을 가늠하기에는 형편없는 대용품이다.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는 자제력과 친화력 같은 자질에 대해 논하면서 이를 품성의 미덕(virtues of character)이라고 일컬었다. 그는품성을 사람들이 순전히 의지력을 통해 습득하고 실천하는 원칙의묶음이라고 설명했다. 나도 품성을 그런 식으로 보았다. 명징한 도덕률을 준수하는 문제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철학자들이 갑론을박하는개념들을 시험하고 정교하게 다듬는 게 내가 하는 일이다. 지난 20년걸쳐 내가 축적해온 증거를 통해 나는 그러한 시각을 재고하게 되었다. 이제 나는 품성을 의지의 문제라기보다 기량의 묶음으로 간주한다.
품성은 원칙을 지니는 상태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자신이 지닌 원칙을 실천하는 학습된 역량이다. 품성을 유지할 기량이 있으면 만성

적으로 할 일을 미루는 사람이 본인에게 아주 중요한 사람을 위해 마감 시한을 지키게 되고, 숫기 없고 내성적인 사람이 불의에 맞서 목소리를 낼 용기를 갖게 되고, 학급 내 골목대장이 중요한 경기 전에같은 팀원들과의 주먹다짐을 자제하게 된다. 우수한 유치원 교사들이(그리고 우수한 코치들이) 바로 이러한 기량을 북돋아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차피 인간은 누구나 다 주관적 현실 속에서 삽니다. 그리고누구한테나 크건 작건 받아들이고 싶지 않은 객관적 사실이 있는거고요. 저희한테는 지난 대선 결과가 그랬죠. 어떤 치들은 선거결과 자체를 부정하면서 부정투표네, 개표조작이 있었네 하고 음모론을 떠벌렸죠. 주관적 현실을 들고 객관적 사실과 싸우려 한거죠. 저는 그러고 싶지는 않았습니다. 대선 결과가 농담 같았고,
그냥 그걸 농담으로 즐겨보기로 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 나라의 위대함과 도덕성은그 나라의 동물이어떤 대우를 받는지를 보면알 수 있다.
나는 나약한 동물일수록인간의 잔인함으로부터더욱 철저히 보호되어야만 한다고생각한다.
마하트마 간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어떤 문장을 이해할 때는 반드시 그 내용에 관한 얼마간의 예비지식이 전제되어 있다. 비록 본인은 명확하게 의식하고 있지 않더라도 말이다. ‘이해하지 건에는 우선 인지의 과정이 필요하다’ 인지와 이해느누비슷하면서도 다르다. 예를 들어 어떤 문장을 보고 ‘이런 말리 쓰여 있다’ 라고 시각적으로 감지하는 것은 인지다. 반면에 문장에서 이미지를 끄집어내고 의미를 간파해사 메세지를 파악하는 과정은 이해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 세계 사망의 70퍼센트는 흡연, 부족한 신체 활동, 불균형한식습관처럼 개선이 가능한 위험한 행동에서 비롯한다. 대표적인사망 위험 요인‘으로는 고혈압(13퍼센트), 흡연(9퍼센트), 고혈당(6퍼센트), 신체 활동 부족(6퍼센트), 비만(5퍼센트) 등이 있다. 과체중성인 인구는 1980년에 8억 5700만 명이었던 데 비해 2013년에는 21억 명에 달한 것으로 추산된다.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일부 지역을 제외한 세계 모든 곳에서는 저체중보다비만인 사람이 더 많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