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다른 여러 인격으로 본심을 이야기하고, 상대의 언동에감동받아서 깊은 생각에 잠기거나 인생을 바꿀 결단을 내리기도한다. 요컨대 그 여러 개의 인격이 모두 ‘진정한 나‘다.

이처럼 사회적인 분인이 특정한 사람에게 맞춰서 형성되는 정도가 서로 알게 된 시간의 길이와 반드시 비례하지는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결국은 양쪽 다 ‘진정한 모습이 아닐까?
구글플러스나 페이스북에서 친구를 그룹으로 나누고,
당연하다는 듯이 누구에게 나의 어떤 면을 보여줄지를 조절하는 요즘 젊은이들에게는 인터넷 등장 초기에 벌어졌던 실제 인격과 인터넷 인격의 진위 논쟁이 바보스러운 얘기처럼 들릴지도 모른다. 그러나 집요하게 들리겠지만, ‘개인‘이 갖고 있는 여러 얼굴이 이렇게 처음으로 명백하게 드러났을 때, 우리 사회는 아무래도 그것을 이면에 숨겨진얼굴이니 이중인격이니 운운하며 이러쿵저러쿵 부정적으로 탐색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한 경향은 현재도 완전히 사라졌다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내가 가장 상세하게 아는 음악가는 소설 주인공으로도삼았던 쇼팽이고, 가장 많이 즐겨 듣는 음악은 마일스 데이비스다. 그 사람과 메탈 담화로 분위기가 고조된 이유는그것이 공통 화제였기 때문이다. 나는 쇼팽을 좋아하는 사람과는 쇼팽 얘기를 나누고, 마일스를 좋아하는 사람과는마일스 얘기를 나누는 게 즐겁다.
나는 그의 앞에서 드러났던 내 모습을 ‘진정한‘ 나라고주장하며 본질을 규정하려 드는 그의 태도가 거북했다.
나에게는 그가 모르는 더 많은 다른 얼굴들이 있다. 물론그의 앞에서 한 얘기는 모두 ‘진짜‘다. 하지만 클래식을 좋아하는 나도, 재즈를 좋아하는 나도 진짜이긴 마찬가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행복도 내가 만드는 것이네불행도 내가 만드는 것이네진실로그 행복과 불행다른 사람이 만드는 것 아니네-법구경

◆넘어지면 넘어지는 것이 나고, 성질내면 성질내는 것이 나입니다. 그런데나는 쉽게 넘어지거나 성질내는 사람이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성질내는 자기를 보는 것이 괴로운 거예요. 내가 생각으로 그려놓은 자아상을 움켜쥐고 고집하니까 현실의 내가 못마땅한 겁니다. 나는 잘났다는 허위의식이 꽉 차 있으니까 현실의 자기가 부끄러운 거예요.

마치 누에가 1 입에서 나온 실로 고치를 만들고 그 속에 갇혀살듯이 인간은 공연히 뭘 만들어놓고 거기에 매달려 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숯이나 다이아몬드나 본래 그 값이 정해져 있는 게아니라 사람이 값을 매긴 겁니다. 만약 사람이 얼어 죽을 것처럼추울 때는 다이아몬드보다 숯이 낫습니다. 따라서 사람도 다이아몬드처럼 빛나려고만 하면 괴롭지만, 숯처럼 쓸모 있는 사람이 되겠다고 마음을 고쳐먹으면 누구나 보람 있게 살 수 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한게임에서는 임의로 설정한 기간 안에 임의로 정한 기준치를달성했다는 사실로 기업의 참된 가치를 평가할 수 없다. 기업의진정한 가치는 사람들이 그 기업의 지속적 성공을 위해 얼마나 기여하고자 하는지, 단지 그곳에서 일하는 동안만이 아니라 그만두거나 퇴직하고나서도 해당 기업이 성공을 이어나가길 바라는지,
그 마음의 크기로 알 수 있다. 유한게임 사고방식을 지닌 리더는직원, 고객, 주주로부터 뭔가를 얻어내어 임의로 정한 기준을 충족하려고 애쓴다. 반면 무한게임 사고방식을 지닌 리더는 직원이열심히 일하고, 고객이 지갑을 열고, 주주가 더 많이 투자할 마음이 자연스럽게 드는 기업을 만들기 위해서 노력한다. 그렇게 사람들이 계속해서 자발적으로 기업에 기여하도록 독려한다. 무한게임 사고방식을 지닌 참여자들은 자신이 입사할 때보다 퇴사할 때기업이 더 발전되어 있길 바란다. 레고Lego가 오랜 세월 사랑받는장난감을 만들 수 있었던 비결은 단순한 행운에 있지 않다. 자신이 퇴사한 뒤에도 회사가 지속적으로 번성하기를 바라는 직원들덕분이다. 그들의 목표는 분기 실적을 잘 내는 것이 아니라 매년더 많은 어린이가 창의적인 놀이를 경험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장난감을 개발하는 것‘이다.

갈림길에 이정표가 하나 있다.
한쪽에는 ‘승리‘라고 적혀 있다.
다른 한쪽에는 ‘성취‘라고 적혀 있다.
이 중에 하나를 택해야 한다.
어느 쪽을 택하겠는가?
승리의 길을 택한다면목표는 이기는 것이다!
결승선을 향해 달리며경쟁의 스릴을 만끽한다.
대중이 모여 우리를 응원한다!
그리고 끝이 난다.
모두 집으로 돌아간다.
(다음에 또 기회가 있기를 바라며)

성취의 길을 택한다면여정은 길어진다.
한 발 한 발 조심히 내디뎌야 할 때도 있다.
주변 경치를 즐기기 위해 잠시 멈출 때도 있다.
계속 나아간다.
계속 나아간다.
대중은 모여 우리 여정에 동참한다.
그리고 우리 인생이 끝날 때,
성취로 향한 길에 함께한 사람들이우리 없이도 계속해서 앞으로 나아가며더 많은 사람이 여정에 동참하도록 영감을 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늘 높이 쏘아 올려진 폭죽은 큰 소리를 내며 화려한 불꽃을 터뜨렸다. 우리는 줄곧 손을 잡고 불꽃을 바라보았다.
어릴 때부터 불꽃놀이를 좋아했다. 하늘로 솟구친 불꽃을 그저 올려다보기만 하면 되었다. 시야에는 불꽃밖에 보이지 않아서 불쾌할 일도 없다. 부모와 친구가 없어도 혼자서 즐길 수 있다. 그때만큼은 평범한 인간처럼 주위에 녹아들 수 있다. 그래서 불꽃놀이를 좋아한다.
하지만 그것은 내 착각이었던 것 같다. 주위를 둘러보니불꽃을 보지 않고 아이나 연인의 옆얼굴을 바라보는 사람이 많다. 하늘을 올려다보는 것만이 불꽃놀이를 즐기는 방법이 아니라는 걸 처음 알았다.
•이치노세의 눈동자 속에서 빛나는 불꽃을 바라보며 나는 그 사실을 깨달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