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과 내용이 관계가 있는 듯도 하고 아닌 듯도 한데 암튼 재밌다. 뭐 별로 대단한 소재(대학 결혼 취업 돈 육아)도 아닌 걸 툭툭 한가롭게 건드리는 점이 특히.

문화자본이라는게 한국에도 적용될 수 있는 건진 생각해봐야겠다. 와인 지식 자랑 하고 싶어하는 사람이 와인 경험자보다 많은 것 같긴 한데 그렇다고 문화귀족이 있는 건가 싶다. 어쩌면 나만 모르는 건가.

총리를 ‘큰 신하‘라고 부르는 나라랑은 좀 사정이 다르지 않을까라고 막연히 추측해볼 뿐 뭐라 결론 지을 수 있는 단계는 아닌 것 같다.

저런 주제들에 대해서도 나도 따로 한 번 좀 생각해봐야겠단 생각이 든 건 뜻하지 않은 수확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동차 엔진이나 코끼리 심장이나 10억번을 뛰면 멈춘다. 운동을 많이 하면 건강하게 일찍 죽는다는 게 영 근본없는 낭설은 아닌 셈. 노화는 세포와 부품 레벨에서 일어난다는데 따라서 덩치가 크고 작은 건 문제가 아니고 미토콘드리아의 대사 작용을 바탕으로 생명활동을 이어가는 존재는 물리적 가동 한계를 가진다는 것이다. 덜 쓰면 오래 쓴다는 걸 뭘 이렇게 어렵게 설명하나 싶긴 한데 이론적 설명이 덧붙여지니 좀 근사해보이기는 한다.

인간관계를 국가 교통망이나 신경 회로의 특성과 비교해봐도 재밌겠다. 지금처럼 연결이 충분히 복잡해지고 고도화된 상황이라면 ‘의식‘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어쩌면 개인의 자아처럼 ‘무의식‘이 존재할 가능성도 있을 것 같다.


인간의 자유의지와 판단은 개별적인 상황에서의 추론은 쉽지 않지만 ‘인간관계‘라는 기능에서 보자면 단순한 이항대립이나(대세를 따른다 거부한다) 몇 가지 행동옵션으로 압축해 낼 수 있을 듯 하고 이 옵션들의 조합 패턴이 특정 ‘임계치‘에 도달하면 ‘의식‘이 발생한다고 가정해보는 것도 재밌을 듯 하다.

- 역사적으로 보면 구전설화, 속담, 상투적인 격언의 역할은 보이지 않는 틀을 구성해서 네트워크 상의 노드들(인간들)이 지정된 한계 내에서 운동하도록 제약하는 것처럼 보인다. 노드 간의 사회적 압력(그러면 못쓴다, 니가 사람이냐 등등)을 통해 사회적 자아에 통합되지 않는 노드를 ‘일탈‘로 규정하고 사회적 ‘정신병‘의 발병을 막는 것으로 비유적으로 설명하는 일도 가능하다.

2차대전과 같은 대규모 전쟁의 발발을 의식과 의식 혹은 무의식과 무의식 혹은 의식과 무의식의 충돌로 본다면 ‘광기‘와 ‘정신병‘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해보려는 시도도 해볼만 할 듯.

한편으로 라캉정신분석은 정신병의 발발은 구조에 내재된 것이므로 어떤 사회가 정신병 (전쟁)이 한 번 일어났다면 완전한 치료(제거)는 불가능 하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보다는 정신병이 재발하지 않도록 정신병적 구조가 요구하는 ‘판타지‘를 유지해야 안정화가 이루어진다.

좀더 상세한 비교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전쟁을 경험한(기실 그로 인해 성립된) 국가인 대한민국은 따라서 정신병적 구조가 자리잡은 개체로 볼 수 있겠고 아직 완전한 안정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삼국유사의 단군 판타지가 서로 다른 자아(고구려 신라 백제)의 통합과 안정화에 기여했다면 오늘날 한국사회에는 두 개의 대립되는 판타지가 존재한다. 박정희와 노무현. 이 둘은 상호배제하는 판타지로 지금으로서는 노가 우세해 보이지만 박은 절반의 세력을 어쨌거나 유지하고 있다. 이런 이항대립을 포괄하는 판타지를 세우므로써 안정화가 가능할지 혹은 어느 한쪽의 승리 혹은 공멸로 끝날 지는 모르겠다.

현재는 이순신이나 세종대왕 같은 과거의 인물을 매개로 삼아 유지되는 듯 하다(이들을 까는 건 암과 동일한 노드로 취급될 것이다). 입헌군주제를 다룬 드라마의 등장도 시기적으로 흥미로운데..다룰 주제가 많으니 일단 여기까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고퀄의 까가 저퀄의 빠보다 사랑스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런 책을 읽을 때면 원래 주제인 문학이나 음악 보다도 곁다리가 재밌다. ˝오에 겐자부로는 억양이 없는 사투리를 쓴다˝ 같은 얘기들.

잘난 모습만 보여주고 싶은 마음도 이해하고 그런 책이 나오는 것도 당연한 일 인데 독자로서는 측면 후면이 궁금하다. 물론 자발적으로 치부를 드러낼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런 걸 표방하는 책이야말로 치부인척 치부 아닌 치부를 드러내는 게 다반사.

사람들은 인생이나 사랑 하다못해 교통규칙에 대해서라도 얘기하는 편이 있어보인다고 생각한다. 맞는 것 같다. 샤워 후 어떤 옷을 입는지 잘 때는 어떻게 누워자는 지 따위를 주절거린다면 요즘 언어로 TMI일테지. 그러나 사소한 일을 공유하는 것이 친밀해지는 길이라는 격언(은 없지만 있다면)처럼 나는 타인의 사소함이 갖고 싶다. 아마도 온기를 품고 있을 그것을, 이렇게 계절이 추워지면 특히나 그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좌파는 자애롭고 우파는 엄하다. 근데 ‘엄부자모‘라는 말처럼 이게 딱 부러지게 나누어지는 것만은 아니다. 한 가정 내에서도 개인으로서도.

사실 좀더 궁금한 부분은 자애로운 좌파가 엄한 우파를 만났을 때의 반응인데 현실 경험에 비춰보면 이때 좌파는 주로 강한 공격성을 띄는 것 같다. 우파가 그러는 거야 가치관에도 부합하고 딱히 놀라운 일도 아닌데 자애로운 좌파가 그러는 이유가 뭘까.

가설을 세워보자면 좌파는 상대와의 갈등을 합리적인 논변과 설득으로 대응하는데(혹은 그래야 한다고 믿지만) 당연히도 이런 전략은 우파에겐 안 먹힌다(가끔은 같은 좌파에게도..). 결국 좌파는 ‘참을만큼 참았어‘의 심적 상태로 ‘버티는게‘ 다다. 현실 정치나 경제가 대개 우파에 호의적이라는 것도 이유가 될 것이다.

이런 상황은 우파에게 너무나 좋다. 좌파가 참다참다 폭발할테니. 타인을 악으로 설정하고 퇴치하는 상황설정은 전형적인 우파의 은유다. 이때 좌파는 ‘실질적으로‘ 우파가 된다. 악을 철퇴로 내려쳐라. 무엇이 ‘악‘인지는 부차적인 문제다.

좌파는 이 아이러니를 주목해야 한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채드 2019-01-26 15:1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자애로운 부모가 아이들한테는 자애롭겠지만, 아이들을 해치려는 사람에게는 공격적인 것과 비슷한 원리 아닐까 싶기도 함. 개인적인 경험상으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