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명화남녀 - 그림과 영화의 달콤쌉싸름한 만남 12
이혜정.한기일 지음 / 생각정원 / 2014년 11월
평점 :
<명화남녀- 그림과 영화의 달콤 쌉싸름한 만남 12> 이혜정, 한기일 공저
시각적인 것을 좋아해서인지 나는 미술을 좋아한다. 아, 물론 그야말로 소시민의 ‘좋아함’이다. 돈 내고 미술을 배운 적이 없으니(우리 시대엔 형제들이 많다보니 NO.3인 나는 순위에 밀려서 음악 미술 이런 걸 배워 본 적이 없다 정말 아쉽게도;) 그저 이 좋아함이란 순박하게 내 느낌에 따른 좋아함일 뿐이다.
그림이나 글이나 그저 내게 좋으면 그만이긴 하지만, 그래도 가끔은 그 그림에 관한 스토리라든가 그림이 나올 수밖에 없던 사회적 상황이라든가, 혹은 작가에 관한 이야기들이 궁금할 때가 있는데 이러 때는 그 정보를 찾아본다는 것이 그닥 쉽게 느껴지지 않아서 아쉬웠는데, 이 책 <명화남녀>는 그런 정보들을 재미있게 풀어놓은 도서라 그 욕구를 충족시켜줄 것만 같아 반가운 책이다.
<명화남녀>는 명화와 영화를 함께 묶어 설명하고 있어서 접근도 쉽고 이해도도 높인 책인 것 같다. 사실.. 명화는 고급스럽지만 일반인에게 다가가기 쉽지 않은데 반해서 영화는 가볍지만 접근성이 좋은 예술 형태라 그 둘이 함께 엮임으로써 서로의 장점을 보완하고 호기심을 더 자극하고 있는 듯 보여 만족스러웠다.
소개된 12개의 영화를 보면서 ‘아, 그래서 시각적으로 더 잘 각인이 되었던 영화들이었나?!!’ 싶은 부분이 많다. 하지만 뭐랄까, 사실 영화를 볼 때는 명화들이 잘 보이지 않았던 것들이 대부분이었는데(배경처럼 스쳐지나갔다고나 할까;) 이렇게 쌍을 지어 소개하면서 보니 그림들이 그 영화에서 차지한 부분과 역할들도 보이고 아주 흥미롭게 읽혔다.
이 책 덕분에 조금 생소한 작가와 작품들과 제대로 선을 본 기분이다.
다만, 살짝 부작용이랄 수 있는 것이, ‘명화’ 때문에 읽기 시작했는데, ‘영화’를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
언젠가.. 기회가 된다면.. 다시 이 영화들을 돌려보면서 첫 감상 때는 느끼지 못했던 명화가 주는 이야기들까지 다 이해할 수 있을지, 감상은 어떻게 달라질지 비교해보고 싶은 마음이다. ^-^
책에서 알려주는 팁(실물과 같은 느낌으로 명화를 감상할 수 있는 사이트)도 감상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