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소한 풍경
박범신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4년 4월
평점 :
책을 읽는 데에는 생각처럼 오래 걸리지 않았으나
리뷰를 쓰기까지는 마음을 먹는 시간이 꽤 오래 걸렸다.
왜 그럴까.
아마도 뭔가 확실하게 잡히는 느낌이 아닌 글이어서가 아닐까 싶다.
화자인 '나'는 작가이다.
어느날 나는 전화 한 통을 받는다.
"시멘트로 뜬 데드마스크 보셨어요?"
아,, 작가에게 정말 제대로 던진 미끼가 아닐까 싶다.
어느 작가가 이 단어에 흔들리지 않을까.
시멘트로 뜬 데드마스크라니.
뜬금없는 ㄱ의 그 전화에
낚싯줄에 꿰인듯 ㄱ을 만나러 간 '나'.
구도시 구소소에서 만난 ㄱ에게
'나'는 그들-ㄱ과 ㄴ, 그리고 ㄷ- 이야기를 듣는다.
평범하지 않았던 젊은 날의 ㄱ은 평범하고 살고자 했지만
그 평범함의 폭력 속에서 벗어나 과거에 묻히듯 고향 구소소로 돌아와 살게 된다.
그리고 그 앞에 나타난 사람들.
그들은 서로에 대해 아무것도 묻지 않고 기묘한 동거를 시작한다.
암묵적인, 그러나 한시적이었던 동거.
그것이 끝나고 그들에게 남은 것은.
<소소한 풍경>이라.....
'사랑'에 대해서는 수많은 학자들과 수많은 소설가들과 수많은 사람들이 나름대로의 정의를 갖고 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 정의가 맞다 틀리다 말하기엔 사랑이란 정확히 잡히는 것이 없는 참으로 추상적인 것. 그래서 참으로 많은 모습으로 드러나곤 하는 것이 사랑이다. <소소한 풍경>은 우리가 흔히 사랑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던, 생각의 평범한 테두리를 벗어난, 그렇지만 충분히 존재할 수 있을 사랑, 사랑이라는 것의 또다른 면을 보여주는 이야기가 아닐까 싶다.
어렵다. 사랑도 어렵고 이 글도 어렵다.
가독률은 높으나 그 안의 인물의 감정을 따라가기엔 조금 헉헉거리는 나를 발견하게 된달까.
삶에, 인생에 어떠한 기대도 남지 않은 채로 그저 살아가던 인물 1,2,3이 만나
서로의 상처를 핥고 보듬고 나누다 다시 無, 혹은 다시 새롭게 바라 볼 무엇을 찾아 나서는 이야기.
나는 그렇게 읽은 것 같다.
작중 인물 셋에게서.. 외롭고 상처받고 희망을 놓아버린 인간 군상을 본 느낌이 든다.
서로에게 서로의 사연을 묻지 않았지만 서로는 서로를 알아볼 수 있었으리라.
사연을 들여다 보면 참 지지리 궁상스러운 삶들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사연부터 드러낸 사이가 아니었기에, 아니 사연을 전혀 몰랐던 사이었기에 그런 궁상스러움보다 '사람' 아니 근본적인 '인간' 자체가 보이지 않았을까.
그들의 사랑에서 나는 왜 사람 보다는 상처 받은 짐승이 서로의 상처를 핥는 모습을 떠올렸을까.
처절하고 안타깝고... 온 마음을 쏟는. 본능적으로 서로의 감각에 예민하고 충실하지만, 그러나 상처가 나으면 낫는대로 낫지 않고 상대가 죽어버리면 죽는대로 그렇게 떠날 수 있는 그런 동물들의 모습을 본 것 같다고나 할까..
그 겨울, 고립이라는 것이 그들을 더 그렇게 만들었지만
셋이 사랑할 수 있었던 그 겨울은
봄, 눈과 함께 그렇게 서로에게 이별해야 하고 각자의 길을 가야했다.
작가가 쓴 이 실험적인 또다른 사랑의 모습은
그들의 심리를 들여다 본다면 이해가 가지만
또 그렇다고 해서 공감이 가는 이야기는 아닌 듯하다.
가끔 나는 '사랑이 뭘까' 고민하게 된다.
지금 내가 하고 있는 것이 사랑인가 하고 고민하기도 한다.
그러나 나는 아직 정답을 모르겠다.
그냥 사랑이라고 믿고 있을 뿐.
작가가 그려낸 그들의 사랑은 그들에겐 이상적이었을지는 몰라도
독자인 내겐 공감이 가거나 흡족한 사랑은 아닌 것 같다.
어딘가 아프고 씁쓸하고 한없이 외로운 느낌이니 말이다.
사랑을 하면... 적어도 이런 기분은 아니어야 하는 게 아닌가.. 라는 내 편견 섞인 의견들이 내게 떼를 쓴다. ^^;;;
여전히 인생에서 '사랑'은 어려운 화두이다.
그저 책을 덮는 순간에.. 나는 ㄱ이 어느날 작중 화자였던 '나'에게 동등한 위치에 설 수 있는 글들을, 언어들을 들고 나타나길 바랐다는 정도.
과거는 묻었으니 해야할 무엇을 찾아 그 길을 나선 그녀가 그것에 열심이길 빌어볼 뿐이다.
<ㄱ이 과거를 묻은 '나'의 정원에 있는 배롱나무의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