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먼문명 - 별과 우주를 사랑한 지동설의 시대
박용숙 지음 / 소동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알고 있는 샤머니즘이 단순한 미신이 아닌 고등 종교의 모태라는 것은 이 말이 공식화될 당시 학자들 사이에 정론이었단다. 본질적으로 불교와 습합된 종교라고 한 학자도 있었고 심지어 석가모니를 샤먼으로 주장하는 학자도 있었다. 이쯤 되면 뭔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 수밖에 없다. 단순히 비과학적이고 미신으로 치부해왔던 샤머니즘이 어떻게 고등 종교가 된다는 말일까?

 

  비밀은 미술평론가 박용숙 교수가 쓴 <샤먼문명>이라는 책에 있다. 책의 부제는 ‘별과 우주를 사랑한 지동설의 시대’이다. 동서양의 고대로부터 전해져오는 유물을 통해 인류 최초의 문명이 남긴 흔적을 찾아가는 과정이고 샤머니즘이 미개한 종교가 아닌 고등 종교임을 밝혀내는 과정이기도 하다.

 

  책에 따르면 샤머니즘은 금성문명이고 청동기 문명이다. 샤먼들이 사용하는 놋쇠 무구, 그리고 제상에도 사용하는 것이 놋쇠 그릇이기 때문이다. 더욱 놀라운 것은 샤먼들이 천동설이 아닌 지동설을 믿었다는 사실이다. 그 중심에는 있는 것은 금성인 비너스다. 춘분점과 추분점에서 지구와 교차하는 별. 이를 그리스 시대에는 아프로디테라고 했고 이집트에서는 이시스, 그리고 바빌로니아 시대에는 이슈타르라고 불렀다.

 

  저자는 플라톤 시대까지만 해도 금성이데올로기가 이데아론의 중심이었다고 주장한다. 플라톤이 죽자 그의 제자인 아리스토텔레스와 프톨레마이오스가 스승을 배신하고 천문학의 담론 속에서 이를 제거했다고 보았다. 천동설로 금성이데올로기를 제거했다는 것이다.

 

  동서양 고대 유적을 살펴보면 지리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전혀 닮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비슷하게 생긴 유적들이 나타난다. 이 책에 따르면 그런 유적들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는 같다는 것이다. 청동거울은 금성을 관찰하기 위한 용도였다는 점, 거대한 뱀(용)이 자신의 꼬리를 물려는 것은 지구가 태양의 주위를 공전하는 궤도를 상징한다는 것 등이다.

 

 

  책에 따르면 금성은 우리 무가에서 만명신萬明神이라고 불린다. 밝을 명(明)자에는 해와 달이 동시에 들어갔다. 춘분점에 나타나는 새벽하늘의 금성은 ‘아린만명’이고 추분점에 저녁 하늘에 나타나는 금성은 ‘스린만명’이다. 6개월 주기로 지구와 만나는 것을 무당은 “아리아리 동동” “스리스리 동동”이라고 노래한다. ‘아린’과 ‘스린’의 변음이 ‘아리’와 ‘스리’이기 때문이다.

 

 

 

  흥미로운 것은 전 세계 5만 5,000개의 고인돌 중 4만 개나 한반도에 있다는 사실이다. 무덤으로 알고 있었던 고인돌이 사실은 별을 사냥하거나 시간을 관측하는 곳이었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중국에 있는 피라미드 역시 단순한 무덤이 아니라 천문대였다는 것이다.

 

 

 

  샤먼문명이 몰락하는 것을 <샌들을 벗어든 아테나>로 알려진 도판으로 설명한다. 거인족의 정자를 거절하는 아테나. 아테나의 반란으로 샤먼문명은 몰락을 맞게 되었다는 것이다.

 

 

 

  오랜만에 500쪽이 넘는 책을 읽었다. 책 대부분이 도상에 대한 해설이라 읽는데 어려움은 없이 술술 읽혔다. 동서양의 유물을 동시에 비교해보는 재미도 쏠쏠하다.

 

 

 

  문득 저자가 쓴 <샤먼제국>이라는 책이 궁금해졌다. 읽을 책 목록에 넣은 것은 물론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