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랑우탄 손과 행복도서관 살인사건 소년탐정 최탁도 1
김용진 지음 / 써네스트 / 2015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탐정소설인데 탐정소설이 아니라 판타지 같은 소설을 읽었다. <우랑우탄 손과 행복도서관 살인사건>이라는 제법 제목이 긴 책이다. 책 표지를 보면 책 속에서 우랑우탄 손이 나와서 아이를 잡고 끌고 들어가려 하고 있고, 형사인듯한 사람이 수갑을 들고 우랑우탄을 체포하려는 것처럼 보인다. 제목이 대충 유추가 되는 장면이다.

 

  주요 인물은 두 사람이다. 늘 엉뚱한 추리만 하고, 오로지 승진에만 목을 매는 자칭 우리나라 최고의 수사반장 ‘최불어’와 겉으로는 멍청해 보여도 천재 소년탐정인 ‘최불어’의 아들 ‘최탁도’다. 사건이 일어나면 먼저 최불어 수사반장이 가서 혼자 힘으로 사건을 해결하려 하지만 엉뚱한 추리로 사건을 해결하기는커녕 자신의 무능함으로 인해 주변 사람들을 실망하게 한다. 이어서 등장하는 주인공인 천재 소년탐정 최탁도가 사건 현장을 둘러보고 사건을 해결하는 식으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책은 중편 동화 3편으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동화가 이 책의 제목이다. 이야기 진행이 1편과 2편과 같이 이어지기도 하고, 3편처럼 완전히 다른 이야기로 독립적이기도 하다.

 

  이야기를 만들어낸 작가의 상상력이 참 독특하다. 책을 먹는 책이 나오고, 희한한 제목의 책이 나온다. 분명 피를 흘리며 죽은 사람이 있는데 피가 눈에만 보이고 손에 묻지도 않는다. 추리소설 영역에서는 논리에 안 맞다. 그런데 이 책에서는 가능하다. 아이들의 상상력으로 이야기가 만들어졌기 때문이라는 것이 출판사의 설명이다. 그래서 판타지 같은 소설인 이유다.

 

 

 

  사건을 푸는 열쇠가 단순히 최탁도의 머리에 의존하는 점도 우습다. 책에서는 어떻게 그런 추리가 나왔는지에 대한 설명이 별로 없다. 왜냐하면, 주인공 최탁도가 천재 소년탐정이기 때문이다. 그걸로 충분하다.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 없다. 그것이 아이들의 상상력이다.

 

  책을 읽다 보면 ‘명탐정 코난’이라는 만화영화가 생각난다. 다른 점이라면 앞서 말했듯 논리적이거나 과학적인 추리만 빠졌다는 점이다.

 

  올해 초등학교 5학년에 올라가는 조카에게 읽어보라고 했다. 책을 들자마자 몰입하기 시작하더니 1시간 정도 걸렸을까, 다 읽어버렸다. 느낌을 물어봤더니 재미있단다. 뭐가 가장 기억에 남느냐고 물었더니 1편에 나온 책을 먹는 책인 <도사연대기>를 꼽았다. 책 제목을 잘 뽑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출판사에 따르면 이 동화는 긴 글에 익숙하지 않은 아이들에게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의도적으로 한 문장의 길이를 짧게 했다고 한다. 책 읽는 즐거움을 주기 위한 작가의 의도적인 배려라고나 할까. 초등학교 3학년 정도의 아이에게 책 읽는 습관을 들이기에 도움이 되겠다는 생각이 든다.

 

  벌써 2편이 기다려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