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 감옥 - 생각을 통제하는 거대한 힘
니콜라스 카 지음, 이진원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4년 9월
평점 :
절판


  자동화, 즉 우리가 손수 해왔던 일들을 컴퓨터와 소프트웨어가 대체하면서 어떤 문제점이 발생했을까? 자동화로 인해 우리의 생활은 편리해졌고, 잡다한 부담이 줄어들었다. 대신 컴퓨터와 소프트웨어, 스마트폰 등에 대한 의존도는 높아졌다. 하지만 과연 문제점은 없을까?
 
  여러 분야를 통해 자동화 맹신에 경고를 던지는 책을 읽었다. 세계적 디지털 사상가 ‘니콜라스 카’의 <유리감옥>이라는 책이다. 자동화가 인간에게 미치는 나쁜 영향이 무엇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게 하는 책이다.
 
  저자가 제일 먼저 예를 든 것은 자동차다. 기어변경이 수동인 것과 자동인 것으로 나눌 수 있는 자동차. 수동 기어와 클러치 페달을 밟아야 하는 차량을 운전하다가, 자동변속 기어가 장착된 차량으로 바꾸게 되면 왼발과 오른손의 여유가 생긴다. 물론 처음에는 여유를 만끽하게 되지만, 익숙해지고 나면 수동 기어를 운전하던 감각이 무뎌진다는 것. 저자는 이를 승객 같은 운전자라고 표현한다. 더 나아가 최근에 개발 소식이 들려오는 구글의 무인자동차를 소개하면서 상용화가 되면 말 그대로 운전자가 승객이 되는 것은 시간문제란다.
 
  비행기에 자동비행장치가 달린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런데 자동비행장치가 장착되면 문제가 없어야 하는데, 오히려 이 자동비행장치 때문에 대형사고가 생겨나는 역설이 발생한다. 이는 두 가지의 이유가 존재하는데 하나는 ‘기계의 오작동’이고 다른 하나는 ‘조종사의 판단착오’다. 물론 두 가지 다 발생할 확률은 극히 낮지만 만에 하나라도 발생하면 엄청난 재앙이 따른다는 점에서 대단히 무서운 것이다.
 
  책에는 이 밖에도 다양한 사례를 소개한다. 차량에 장착된 GPS가 오류를 일으키는 사례나 특정 질병을 진단하는 프로그램의 문제점. 특정한 문제만 진단하는 프로그램이 지적하는 것만 보고 다른 증상을 무시해 버리는 의사들. 결국, 자동화로 인해 인간의 두뇌는 점점 무능해지고 퇴화한다는 것이다. 특히 많은 사람이 기대를 걸고 있는 인공지능에 대해서도 강력하게 경고한다. 인간의 지능을 대신할 수 있는 완벽한 도덕적 알고리즘은 없다는 것이다.
 
  첨단산업과 IT 기술의 발달은 우리 생활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복잡한 기계 조작이나 힘든 작업들을 기계가 대신하면서 일에 대한 효율성은 높아졌지만, 대신 그만큼 우리의 뇌는 도태되고 있다는 점은 누구나 공감할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기기의 도움을 배제한다면 그 또한 정답은 아닐 것이다.
 
 


  저자는 머리글에서 2013년 1월 4일 미국연방항공국(FAA)이 발표한 안내문을 인용한다.
  안내문에는 “항공사들은 적절한 때에 (조종사들에게) 수동 비행을 홍보할 것을 권장한다.”라고 적혀 있었다. …… 조종사들이 자동조종장치에 과도하게 의존할 경우 “비행기를 비정상적 상태로부터 신속히 원 상태로 돌려놓을 수 있는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고 직설적으로 경고했다.
 
  그리고 7월 6일 인천국제공항을 출발하여 미국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에 착륙하려던 아시아나항공 214편의 착륙사고가 났다.
 
  245페이지에 처음 보는 용어가 나왔다. 여키스-도슨 곡선이다. 일의 효율성은 스트레스가 중간 수준일 때 가장 높아진다는 이론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