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직 독서뿐 - 허균에서 홍길주까지 옛사람 9인의 핵심 독서 전략
정민 지음 / 김영사 / 2013년 6월
평점 :
얼마 전 사이버 강좌로 이지성 작가의 <리딩으로 리더하라>라는 과정을 배웠다. 세상을 움직이는 모든 사람들, 즉 국가든 기업이든 리더의 위치에 있는 사람들은 모두 인문 고전독서를 했다는 것이고 그것이 바로 리더가 되는 방법이며, 우리들 역시 그렇게 하지 않으면 리더가 아닌 팔로우로 전락하고 만다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때에 만난 책이 정민 교수의 『오직 독서뿐』이란 책이다. 이 책 서문에도 역시 독서만이 어려워 진 사회에서 삶을 구제받는 유일한 방법이란다. 공감 가는 이야기다.
책에는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 어떻게 읽고, 어떤 책을 읽을 지에 대해 아홉 분의 선지자를 안내자로 내세운다. 허균, 이익, 양응수, 안정복, 홍대용, 박지원, 이덕무, 홍석주, 홍길주 등이다. 여러 부분에서 중복되기도 하지만 각 각에 따라 개성적인 시각도 나타난다. 이에 대해서는 저자가 서문에 그 차이를 아래와 같이 밝혔다.
허준의 글은 중국 명대의 청언(淸言)에서 골라낸 내용이다. 문인의 아취(雅趣)가 느껴진다. 양응수의 글은 『성리대전(性理大全)』에서 독서에 관한 격언만 골라서 편집했다. 책 읽는 자세를 다잡게 만든다. 이익의 글은 독서하는 사람이 빠지기 쉬운 함정과 위험을 조목조목 지적했다. 안정복의 글은 생생하고 구체적이다. 예시가 실감난다. 홍대용은 독서의 단계를 꼼꼼하게 설정해서 친절하고 설명했다. 박지원의 글은 맛난 비유와 핵심을 찌르는 가르침으로 가득하다. 이덕무는 따뜻하면서 엄격하고 친절하지만 매섭다. 그는 특히 어린이 독서에 관심이 많았다. 홍석주의 글은 묵직한 깊이가 있다. 공부하는 사람이 새겨 명심해야 할 말이 많다. 홍길주는 일상의 예시를 통해 의표를 찌르는 예지가 빛난다. 이분들 말고도 많은 선현들이 독서에 관한 글을 남겼지만, 다 망라하자면 한이 없다. 다산 정약용의 독서론은 다른 책에서 이미 소개한 적이 있어 여기서는 제외했다.
내가 느낀 차이는 많이 다르다. 물론 원문을 읽은 것과 해석 글을 읽는 차이일 것으로 생각된다. 그래서 나랑 느낌의 차이가 큰 이유일 것이다. 허준의 글에서는 꼭 필요한 책은 숙독하라고 한다. 특히 독서를 시간이 남아서 하는 것이 아님을 독서하기 좋을 때에서 강조한다. 이익은 의문 나는 구절이나 잊기 쉬운 부분은 메모하는 습관을 강조한다. 양응수의 글은 자신이 지은 <독서법>에서 뽑았다. 학문하는 자세와 같이 하는 것을 강조한다. 그래서 요약하면 숙독과 체험 그리고 정사(精思)다. 안정복의 독서는 책을 통째로 외우는 것이고 이덕무의 독서는 필사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홍석주와 홍길주는 책과 독서방법을 다섯 등급으로 나눴다.
저서의 5등급은 명도정덕(明道正德)의 경전과 경세치용(經世致用)의 역사 실용서, 수사미관(修辭美觀)의 문장서, 계물흡문(稽物洽聞)의 고증훈고서, 마지막으로 유담파적(游談破寂)의 소설쇄기 등으로 구분한다. - 홍석주의 <학강산필>
사람이 책을 읽는 것에 다섯 가지 등급이 있다. 으뜸은 이치를 밝혀 몸을 바르게 하는 것이다. 그다음은 옛것을 널리 익혀 일에 응하는 것이다. 그다음은 문사를 닦아 세상에 이름을 올리는 것이다. 그다음은 기억력이 뛰어나 남에게 뽐내는 것이다. 가장 아랫길은 할 일 없이 시간만 죽이는 것이다. - 홍길주의 <수여난필>
워낙 유명한 선지자들의 글에서 좋은 글들만 뽑아서 책 전체를 통틀어 버릴게 하나도 없다. 특히 매번 반복되는 부분은 다독이지만 우리가 아는 다독과는 다르다. 많은 종류가 아니라 한 권을 읽더라도 완전히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 읽는 어찌 보면 거의 외우다시피 하는 것을 말한다.
책 읽는데 무슨 이유가 필요가 있을까? 이미 책속에 모든 해답이 있다고 하는데 말이다. 두고두고 음미하면서 길잡이로 삼고 싶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