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금풍차를 돌려라 - 매달 꼬박꼬박 복리 효과를 누리는
윤승희 지음 / 21세기북스 / 201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테크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아인슈타인도 극찬했다는 복리의 마법에 대해 모르는 사람이 없을 것이다. 하지만 제대로 된 마법의 효과를 누리려면 제법 긴 세월이 필요하다. 그래서 알고도 장기간 예치하는 정기예금에 가입하기가 쉽지 않다. 언제 돈이 필요한 상황이 전개될 지 모르기 때문이다. 펀드나 주식도 역시 관심은 가지만 원금을 날릴지도 모른다는 불안감때문에 가입하기가 쉽지 않기는 마찬가지다.

 

  그렇다면 원금을 날릴 위험도 없고 현금 유동성도 보장되면서 복리의 효과까지 거둘 수 있는 금융상품이 없을까? 저축과 같은 지극히 정상적인 방법으로는 목돈 마련하기가 쉽지 않아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런데 있다고 주장하는 책이 나왔다. 그 주인공이 바로『예금풍차를 돌려라』는 책인데 이 책의 저자가 현직 은행원이라 점에서 조금 의아하다. 은행에 그 많은 상품들이 있지만 이런 상품이 있다는 이야기는 들어보지 못했으니 말이다.

 

  사실 대부분이 복리의 마법을 중도에 포기하게 되는 것은 기간인데 이 책에서 제시하는 방법은 1년이라는 단기간이다. 또 복리도 은행에서 보장해주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스스로 만들어가야 한다는 점이 다르다. 대신 유동성 확보에서 만큼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묘한 매력을 가졌다.

 

  방법은 간단하다. 매월 특정일을 정해 저축 가능한 최대 금액을 1년 만기 정기예금에 가입하는 것이다. 그리고 한 달 후 똑같은 정기예금에 추가로 가입한다. 이렇게 1년이 지속되면 모두 12개의 정기예금 통장이 생긴다. 이 다음부터가 중요한데, 만기가 된 정기예금을 찾아서 1년 만기의 새로운 정기예금에 가입한다. 대신 이때 가입하는 금액은 만기된 정기예금(원금+이자)에 저축 가능한 최대 금액을 추가한 금액이 된다.(이해가 가지 않은 분은 아래 '왕계장의 저축도'를 참고하기 바람) 이렇게 매달 정기예금을 갱신해 나가는 것이 이 책 제목인 예금풍차다.

 

  그런데 이런 간단한 방법을 왜 몰랐을까 한탄할 필요는 없다. 이 방법도 결코 쉬운 방법은 아니다. 왜냐하면 절약·저축·투자라는 재테크의 기본에 충실해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200만원의 월급을 받는 사람이 그 중 100만원을 예금풍차인 정기적금에 들려면 어지간한 절약으로는 어림없다. 그래서 저자는 절약하는 습관을 만드는 것을 풍차 돌리기를 위한 준비단계로 둔다. 책에서 말하는 1단계다.

 

  본격적으로 풍차 돌리는 저축 단계에 접어들면 해야 할 일이 추가된다. 마지막 단계인 투자를 위한 자기계발에 돌입하는 것. 이 책에서 읽도록 추천하는 경제 관련 서적만 해도 무려 100권이나 된다. 뭐 그렇다고 미리 겁먹을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책은 6년차 은행원인 '이주인' 대리를 통해 주변 동료들에게서 예금풍차에 대해 배우면서 실천해 나가는 소설 형식으로 전개된다. 또 중간 중간에 삽화를 삽입하고, 이야기와 관련 있는 팁이나 금융 정보를 추가하여 흥미를 더한다. 그래서인지 딱딱한 이야기가 될 수도 있었을텐데 오히려 관심이 더해지고 술술 읽혀지는 매력을 가졌다. 게다가 책의 말미에 연금저축 고르는 법, 신용카드 사용법, 보험 가입, 통장 쪼개기 등은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보도 보너스로 제공한다.

 

  사실 책 띠지에 있는 '직장생활 5년차, 예금풍차만 알면 당신도 1억 모을 수 있다!'는 메시지 때문에 호기심에서 읽기 시작한 책인데 책을 다 읽고나니 진작 알았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왜냐하면 책의 앞부분에 예금풍차를 먼저 사용해 보고 추천글을 쓴 대부분의 연령이 33세다. 그기에 비하면 나는 직장생활 20년차가 넘는데도 이들보다 모아둔 것이 적다.

 

  절약·저축·투자라는 기본을 통해 제대로 된 재테크를 꿈꾸는 분들께 권하고 싶다. 혹시 매월 목돈으로 정기예금을 가입할 능력이 안 된다면 적금풍차를 돌리는 방법도 소개하고 있으니 그 방법도 고려해보기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