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아버지입니다
딕 호이트.던 예거 지음, 정회성 옮김 / 황금물고기 / 201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아버지입니다』라는 책을 읽을 기회를 잡았다. 매달 모이는 독서모임인 책나루(책을 좋아하는 사람들 네이버 카페 부산 경남 회원들의 모임)에서 우연히 업어온 책인데 낯설지 않은 이유가 있었다.

  아주 오래 전에 직장에서 교육을 받은 적이 있었다. 그 자리에서 정말 감명 깊게 본 동영상이 있었는데 철인3종경기에 나선 어떤 아버지의 이야기였다. 철인3종경기에 참가하는 전문가들에게 물어봤다는 강사의 이야기는 충격적이었다. 그 영상에 나온 아버지의 철인3종경기 기록은 아마추어가 아니었기 때문이었다. 더군다나 혼자가 아닌 몸으로 달린 경기였다. 선천적으로 장애를 가지고 태어난 자신의 아들이 단지 좋아한다는 이유만으로 아버지는 아들을 고무보트에 태워 끌면서 수영을 했고, 이어 아들을 자전거에 태우고 달렸고, 나중에는 아들의 휠체어를 끌면서 마라톤을 완주한 아버지. 정말이지 감동 그자체였다. 사실 그 당시는 그냥 감동만 받았을 뿐 아버지가 누구인지에 대해서는 그리 관심을 가지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었다. 그러다 『나는 아버지입니다』라는 책을 접하게 된 것이다.

  나 자신도 작은 장애를 가지고 있지만 나는 청각 장애아를 둔 부모이기도 하다. 그래서 장애아를 키우는 부모들의 이야기나 스스로 장애를 극복한 이야기에 관심이 많다. 다만 그런 서적을 읽을 기회를 자주 갖지 못하는 현실적인 한계 때문에 지금까지 몇 권에 불과한 책만 읽었을 뿐이다. 그러던 내게 이 책을 읽을 기회가 생긴 것은 어쩌면 그동안 너무 편하게 살아온 나 자신을 되돌아 보는 자성의 계기가 되었다.

  아버지 딕 호이트는 평범한 가정에서 태어난 미국인으로 고등학교 동창인 주디와 결혼해서 처음 얻은 아들이 선천적으로 '경련성 사지마비'라는 장애를 가지고 태어난다. 이때부터 딕과 주디 부부는 장애 아들을 평범한 아이처럼 키우기 위해 장애아를 차별하는 사회와 싸움을 시작하게 된다. 다행히 아들 릭은 특수 컴퓨터를 개발하는 대학의 한 연구팀에 도움으로 가족들과 의사소통을 하기 시작하게 되고, 이후 엄마 주디의 투쟁이 시작되고 결국 릭이 14살이 되던 해에 공립학교에 입학하게 된다.

  공립학교를 다니던 릭에게는 체육 교사인 사토리 선생이 있었다. 장애가 체육 수업을 빠지는 핑계가 되지 못한다는 사토리 선생. 급기야 릭은 휠체어를 타고 체육 수업에 들어가게 되고, 사토리 선생과 친구들과 함께 농구 경기까지 구경하게 가게 된다. 그러던 어느날 릭은 특수 컴퓨터에 라크로스(하키 비슷한 구기 운동) 경기 도중 다른 선수와 부딪쳐 목이 부러지고 목 아래의 몸이 마비된 지미 바나코스 선수를 위한 자선 달리기 대회에 대한 글을 쓰게 되는데, 여기에 쓴 릭의 글은 '아빠와 달리고 싶다'는 글이었다. 이를 본 아버지 딕은 뭉클해진 가슴으로 아들과 함께 그러겠다는 약속을 하게 되지만 그는 이미 37살이나 먹은 아저씨라 고민이 많았지만 결국 대회를 완주하게 된다.

  한편 완주 이후 릭이 특수 컴퓨터에 입력한 글은 '달리고 있을 때 저는 장애인이 아닌 것 같았다'는 이야기. 이후 둘은 '팀 호이트'라는 이름으로 1977년 10월 스프링필드10킬로미터 단축마라톤을 시작으로 1984년 보스톤 마라톤에 이르기까지 달리기는 계속된다. 그러다 1983년 8월에 열린 팰머스 대회에서 데이브 맥길리브레이라는 철인3종경기 선수의 제안으로 시작된 철인3종경기. 이후 '팀 호이트'는 철인3종경기에 매진하게 된다.

  보통사람들도 하기 힘든 마라톤 64차례 완주, 철인3종경기 6차례, 단축 철인3종경기 206차례 완주, 미대륙 6000킬로미터 횡단 이러한 대기록은 아마 당분간은 깨지지 않을 것이다. 가히 기적을 넘어 전설이라고 해도 과분하지 않을 정도다. 결국 이들 부자가 던진 희망은 예스 유 캔(Yes You Can)이라는 메시지. 수 많은 사람들의 가슴에 나도 할 수 있다는 신념을 선물했던 것이다.

  사실 이 책을 통해 오래 전이었겠지만 미국에서도 장애아에 대한 편견이 그렇게 심했다는데 많이 놀랬다. 주인공인 아들 닉은 1962년 생이니 그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아직도 그런 사회적 편견이 심한 우리 사회가 참 안타깝다는 생각이 든다.

  책에서 감명 깊게 읽은 구절이 있어 아래에 인용한다.

  "장애인이나 그 가족을 가장 힘들게 하는 것은 장애인에 대한 사람들의 편견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