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사의 회전 세계문학의 숲 6
헨리 제임스 지음, 정상준 옮김 / 시공사 / 201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령이 이야기의 소재로 된 것은 판단에 따라 다르다. 종교에 따라서도 다르고, 문화에 따라서도 다르다. 본격적인 유령 이야기가 소설로 나온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헬리 제임스의 『나사의 회전』 역시 1898년에 발표되었으니 지금으로부터 채 120년도 지나지 않았다. 대신 이 소설이 표현기법에 있어 수많은 영미권 작가들에게 영향을 준 소설이라는 수식어와 '의식의 흐름' 기법의 원형을 제시했다는 찬사를 받은 작품이라는 것. 사실 이정도만으로도 이 책을 읽어야할 동기는 분명하지만 표지에 보여주는 여인의 몽환적인 분위기는 묘한 기분을 더해준다.

  소설은 어떤 집의 거실에서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는 과정에서부터 시작한다. 물론 유령 이야기가 더글라스라는 인물이 정말 끔찍한 이야기를 알고 있으며, 당장은 아니지만 곧 들려줄 수 있다는 것에서 시작한다. 말하고자 하는 원고는 따로 있다. 하지만 가져올 수 있으니 문제는 없다. 말하자면 이 소설의 내용은 더글라스가 가져온 원고를 읽는 이야기를 그대로 책으로 옮겼다고 생각하면 된다.

  책은 귀족의 조카 정도되는 애들에게 가서 경험하는 가정교사의 이야기다. 외부와의 소통이 완전히 단절되지는 않았지만 저택에서 아무런 불편을 느끼지 못하는 환경에서 가정교사인 주인공인 나는 어느 날 어떤 사내를 그리고 한참 뒤에는 어떤 여인을 보게 된다. 집안일을 관장하던 그로스 부인을 통해 안 사실은 둘 다 예전에는 그 곳에 있었지만 죽었다는 이야기다. 결론적으로 유령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주인공인 나는 혹시라도 그 두 유령이 자신이 돌보는 두 아이를 해치지 못하게 하는 것을 자신의 의무로 생각해 버린다. 그리고는 아이들이 유령에 의해 아무런 피해도 입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가는데 ....

  책을 다 읽고 나면 두 가지의 결론 중 어느것이 진실인 지에 대한 고민이 생긴다. 이 책의 말미에 있는 해설과도 같은 맥락이다. 주인공인 내가 이 이야기를 만들어 나갔는지 아니면 원래부터 이 이야기는 그렇게 진행될 수밖에 없었는지에 대한 이야기다. 이 일에 대한 내 생각은 전자에 가깝다. 주인공이 스스로 이 이야기 속에서 만들어 나갔다는 이야기. 사실 어떤 이야기를 선택해도 상관없다. 사실 주인공이 만들어 간 이야기라고 생각하지만 의문은 남는다. 소설에 따르면 유령을 본 사람은 주인공 밖에는 없다. 그런데도 유령의 인상착의만 가지고 예전에 있었던 하인과 가정교사를 확인하는 과정이 나오기 때문이다.

  소설은 철저하게 가정교사인 주인공 나의 시각에서 진행된다. 공포에 질린 감정을 스스럼없이 드러내는가 하면 상황에 따라 아주 침착하게 판단하는 냉철함마저 가졌다. 어쩌면 이런 구성이 독자의 사고를 조종하는 교묘한 서술이라는 찬사를 불러왔는지도 모르겠다.

  일부 평론가의 지적처럼 이 소설이 극도로 소름끼치는 이야기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선듯 동의할 수 없다. 그렇게 하려고 의도한 부분이 책에서 자주 보이지만 말이다. 대신 책을 펼치자마자 책 속으로 빠져들게하는 신기한 마력을 가졌다.

  책 제목 <나사의 회전>에서 나사가 ‘스크류’인 것을 알지 못했다. 그래서 왜 그 용어를 선택했는지가 무척 궁금했다. 아마도 다음에 열거하는 대목이 대신 해답을 주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나는 '자연'의 이치에 내 비밀과 문제점을 털어놓고 그 이치를 고려하며, 내가 겪는 기괴한 시련을 결국 당당하게 정면에서 맞서도록 하는 압박으로 여김으로써, 물론 그것은 비정상적이고 불쾌한 방향이지만, 바꾸어 말하면 평범한 인간 도덕성의 나사를 한 바퀴 더 죄는 것으로 여김으로써 그나마 지탱해갈 수 있었다.  (213페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