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위대한 명연설
에드워드 험프리 지음, 홍선영 옮김 / 베이직북스 / 201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심장에 남는 명연설은 위기의 국면을 전환하는 계기가 되기도 하고, 역사를 송두리째 바꾸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그것은 청중으로 하여금 가슴 벅찬 감동을 주기도 하고, 믿음에 대한 확신을 더해주기도 한다.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위대한 명연설』은 지난 4세기에 걸쳐 등장한 영어로 된 가장 위대하고 유려한 연설 41편을 담은 책이다. 1601년 있었던 엘리자베스 1세의 연설에서부터 가장 최근인 2008년 버락 오바마의 미국 대통령 당선 연설에 이르기까지 그 시대의 중심에 있었던 남녀 연설가 서른네 명의 연설이 담겨있다.

  책은 맨 처음 연설가의 그림 또는 사진을 배치하였고, 이어 연설가의 삶이나 연설의 배경이나 의의, 특징 등을 간략히 소개한다. 그리고 해당 연설을 이어가고 연설과 관련한 다른 정보를 제공하는 형식으로 진행한다.

  저자는 책을 통해 미국 역사상 가장 위대한 연설로 케네디의 <취임 연설>과 <베를린 연설>, 링컨의 <게티스버그 연설>, 마틴 루터 킹의 워싱턴 평화행진 연설인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와 패트릭 헨리의 <자유가 아니면 죽음을 달라>를 손꼽았다.

  이어 타임지가 선정한 20세기를 대표하는 4대 명연설로 루스벨트와 케네디의 <취임 연설>, 윈스턴 처칠의 <나치 침략에 대한 전쟁 독려사>, 그리고 마틴 루터 킹 목사의 <워싱턴 평화행진 연설>이라고 밝힌다.

  주옥같은 연설 중에는 캐빈 러드의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에 대한 사과'와 같은 심금을 울리는 글이 있었던 반면 리처드 닉슨의 '사임 연설'과 같이 사죄하지 않는 모습으로 서글픈 마음이 드는 연설도 있었다.

  사실 관심을 끈 연설은 20세기 캐나다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정치인이었던 피에르 엘리엇 트뤼도 총리의 '사형에 반대하며' 하원의사당에서 1976년 한 연설이었다. 21세기 현재 사형제를 유지하는 선전국은 일본과 미국뿐이다. 우리나라 역시 사형제는 있지만 사실상 집행을 하지 않기에 사형제 유보국으로 분류되지만 이 제도에 대한 사회적인 논의가 조금씩 시작되고 있기에 사형제 폐지를 주장하는 근거에 관심이 갔던 것이다.

  연설을 통해 총리가 내세우는 논리는 사형제도의 무용론이다. 사회 안전을 위하여 무고한 시민들을 궁극적으로 폭력 범죄에서 보호하기 위해 살인자를 사형에 처하는 것이 적절한가에 대한 물음에서 결국 국가의 사형집행이 살인 가능성을 막아줄 수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국가 차원의 복수이자 보복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사람의 목숨을 희생시키지 않고도 안전을 지킬 수 있는 사회의 능력을 믿자는 것으로 연설은 끝난다. 다행이 이 법안은 찬성 131, 반대 124표를 얻어 통과되었단다.

  사람의 마음을 움직인다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희망과 용기를 불어넣는 그런 연설은 듣는 이로 하여금 가슴 벅찬 감동을 받게 하는 것은 얼마든지 있다. 그래서 비록 수세기가 지났지만 주옥같은 명연설은 아직도 우리에게 감동을 줄 수 있지 않나 생각이 든다.

  암기 및 학습용 MP3 파일을 금방 다운받았다. 용량이 제법된다. 시간을 두고 천천히 감상해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