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아트리스와 버질
얀 마텔 지음, 강주헌 옮김 / 작가정신 / 2011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얀 마텔 이라면 우리나라에 <파이 이야기>로 나름 많은 독자층을 형성하고 있는 작가다. 그가 <파이 이야기> 9년 만에 내놓았다는 후속작 『베아트리스와 버질』은 전편이라는 책을 이미 읽었기 때문에 사실 후속작이라는 수식어에 많은 기대가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특히 나치의 유대인 대학살인 홀로코스트를 다른 시각으로 다뤘다는 책 표지의 평론 역시 이 책에 손이 가게 하기에는 충분했다.

  소설은 작가 자신이 소설 속에 헨리라는 이름을 가진 소설가로 등장하면서 시작된다. 그는 홀로코스트에 대한 여러 서적들이 역사적 사실주의 관점에서만 다루는 것에 주목한다. 상상력이 첨가되지 않은 역사적 사실로만 다룬다는 점이다. 그래서 자신이 이를 예술적인 상상력을 동원해서 소설과 평론 두 양식으로 작품을 완성하고 이를 한 권의 플립북이라는 형식으로 출간하려한다. 그러나 평론가와 역사가들은 작품이 형편없다는 비난에 충격을 받아 글쓰기를 포기하고 다른 곳으로 떠나 휴식에 들어간다. 그리고 그곳에서 클라리넷을 배우고, 연극단에 들어가 연극을 연습하고, 초콜라테리아에서 웨이트로 일하는 등 비난의 충격을 점차 벗어나게 된다. 그러던 어느 날 자신에게 온 소포 중 플로베르의 <호스피테이터 성 쥘리앵의 전설> 복사본과 제목도 없는 희곡 몇 장과 도움이 필요하다는 글이 써져있는 봉투를 우연히 받게 된다.

  소설은 그가 그 소포의 주인공을 찾아가게 되고 그가 박제상이며 그에게 보낸 희곡의 일부분은 <20세기의 셔츠>라는 제목이란 것을 알게 되고, 또 희곡에 등장하는 베아트리스는 당나귀고 버질은 원숭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이후 주인공 헨리는 희곡의 일부에 묘사를 추가하는 도움을 주고 박제상이 읽어주는 희곡을 듣고, 이해가지 않는 부분은 묻고 답하는 형식을 통해 스토리가 진행된다.

  옮긴이의 글에 따르면 작가가 표현하고자 한 것은 비단 나치의 유대인 학살인 홀로코스트만을 다루는 것이 아니고 지금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 전반에서 홀로코스트적 관점에서 보는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한다. 현대전이 대량 학살을 피해갈 수밖에 없기 때문일 것이다. 그리고 단테의 <신곡>에 나오는 두 주인공 베아트리체(영어식 이름은 베아트리스)와 베르길리우스(영어식 이름은 버질)를 박제된 동물에게 이름 붙여준 이유도 <신곡>에서처럼 지옥과 연옥과 천국을 여행하는 안내자로 소개한다는 것이다. 홀로코스트가 짐승을 통째로 구워 신전에 바치는 유대교의 제사인 전번제에서 유래되었다는 것은 처음 알게 된 사실이다.

  그런데 사실 다 읽고 나니 뭔가 좀 허전한 것 같기도 하고, 쉽게 이해하기에는 조금 난해한 것 같기도 하다. 홀로코스트를 우화적으로 비유한 것 같기는 한데, 결말에 이르는 부분에 난데없이 등장하는 나치의 부역자라는 용어도 낯설지만 책의 뒤편에 첨가한 <구스타프를 위한 게임>은 뜬금없다는 생각도 든다. 해답 없는 질문은 결국 소설의 결말을 독자에게 오픈해버린 것 같다. 마지막인 '게임13'에서는 문제조차도 백지로 비워놓았기 때문이다. 

  잘 못 번역했다고 생각되는 부분도 나온다. 번지로 번역한 것인데, 외국에는 주소에 번지라는 개념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래서 책에서 말하는 '노볼리프키 거리 68번지'는 '노볼리프키 거리 68번'으로 번역해야 옳지 않을까 생각된다. 내가 알기로는 주소에 번지를 사용하는 나라는 지구상에 우리나라와 일본밖에 없었고, 일본도 지금은 번지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알고 있기때문이다. 그리고 내년(2012년)이 되면 우리나라도 새주소 제도가 전면 시행된다. 거리이름(도로명)과 건물번호로 새로 명명되는 도로명주소가 바로 그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