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사마리아인들 - 장하준의 경제학 파노라마
장하준 지음, 이순희 옮김 / 부키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참 읽고 싶었던 책이었는데 정말 이상한 인연으로 책을 접하게 되었다. 아내가 일하는 식당 사장이 읽어보라고 주더라며 가지고 온 책이었기 때문이다. 일전에 장하준 교수의 <사다리 걷어차기>라는 책을 먼저 빌려준 적이 있었다. 그래서인지 역사에 관심이 많은 식당 사장이 가지고 있던 이 책을 읽어보기를 권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우선 이 책은 군에서 불온(이적)도서로 선정되어 있는 책이다. 그래서 군대에서는 읽을 수가 없다. 왜 그런지 이유는 단순하다. 현 세계의 경제를 이끌어가는 이론을 한마디로 신자유주의라고 한다. 그런데 선진국에서 다들 좋다고 하는 경제이론을 조목조목 사례를 들며 논리적으로 반박하는 글이기 때문이다.

  앞서 읽었던 <사다리 걷어차기>가 현재의 선진국들이 어떻게 부자나라가 되었는지를 밝혔다면, 이 책에서는 신자유주의의 선봉에 선 이데올로그들이 내세우는 논리가 얼마나 허구적인지를 밝힌다. 특히 IMF와 세계은행, 그리고 WTO로 대변되는 사악한 신자유주의 복음 전도사들이 각국의 외환위기를 계기로 굴욕적으로 강제하는 각종 조치들이 사실은 이들 나라가 더 회생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것이 공기업 민영화, 자본시장 완전개방, 건전한 재정운용, 규제완화 등이다. 흔히 이야기하는 자유경쟁, 자유시장의 논리에 맡겨야 한다는 것인데, 저자는 이에 강하게 반박한다. 공정한 룰이라고 나쁜 사마리아인들이 강조하는 이야기가 결코 공정한 룰이 아니라는 것. 스포츠로 따지자면 연령도 체급도 다른 사람들을 경기장에 올려놓고 정정당당한 경기를 기대하는 것처럼 어리석은 속임수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그동안 신자유주의의 허황된 논리에 대해 막연하고 뒤죽박죽되어 있던 지식들이 이 책을 통해 정리가 된 것 같은 느낌을 받았다. 몇 년 전인가 노조 지부장을 하던 때가 있었다. 그때 각 사무실을 돌면서 신자유주의와 신공공관리론에 대한 설명을 한 적이 있었다. 이 책이 나오기 훨씬 전이었지만 영국의 철도 재국유화와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정전 사태 등 이 책에서 인용하고 있는 것도 여러 개 다루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책은 신자유주의의 허상을 적나라하게 파헤치고 그 폐단을 지적하는데 만 그치지 않는다. 세상이 바뀔 수도 있다는 희망이다. 지금의 나쁜 사마리아인들도 착한 사마리아인이었던 시절이 있었다는 것. 지난 30년의 신자유주의 역사가 이미 신자유주의 세계화가 몰고 온 재앙이 어떤 것인지 적나라하게 보여주고 있음을 통해 틀린 교리를 수정할 때도 되었다는 것이다. 또 개발도상국이 발전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선진국에도 덕이 된다는 사실이다. 그러면서 시장에 대항하고 제조업을 중시하라는 충고를 아끼지 않는다. 시장에 대항하지 않았다면 아직도 노키아는 벌목이나 하고 있고, 삼성은 여전히 사탕수수를 수입해서 정제하고 있을 것이라는 것이다.

  잘못된 상식을 진리라고 믿었던 것도 알게 되었다. 우리는 흔히 스위스를 관광과 비밀은행, 시계 등 전문세공업으로 먹고산다고 생각한다. 싱가포르 역시 금융의 중심지이고 무역으로 번창하는 도시로 알고 있다. 하지만 두 나라는 제조업으로 먹고사는 나라라는 것이다.

  경제학이라는 전문적인 학문을 다룬 책이지만 그다지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어 좋았다. 신자유주의를 신봉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읽어야 할 책이다. 한미FTA가 무조건 좋다고 뻥치는 정치인들 역시 읽었으면 좋겠다. 무조건 옳다고 믿는 독선주의자들의 마음을 돌리기는 어렵다고 책에서 밝히지만 그래도 이 책을 읽고 나면 조금은 달라지지 않을까하는 나이 간절한 기대감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