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불교 대인심리학
코이케 류노스케 지음, 최선임 옮김 / 지식여행 / 2010년 12월
평점 :
품절
심리학과 불교는 인간의 내면을 중시하고 마음을 안정시켜 불안과 집착으로 부터 마음의 평정을 유지하는 공통점을 가진다. 그래서 젊은 스님이 <불교 대인 심리학>이라는 책을 펴냈다는 것이 어색하지가 않다. 인간이 번뇌로부터 벗어나야 한다는 것은 아마 불교가 다른 종교와 구분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물론 참선을 통해 번뇌에서 해방되고 마음의 평안을 구하는 다른 종교가 있을 수도 있겠지만 흔히 세계적으로 많은 신도를 가진 종교 중에는 그렇지 않나 생각된다.
이 책은 불교의 색깔을 숨김없이 드러낸다. 게으르고 교만함을 나타내는 만(慢)은 욕망이고 충동이었다. '본래의 나'와 '꾸며진 나' 사이에서 방황하다 결국 인간이 빠질 수밖에 없는 탐(貪, 욕망) 진(瞋, 화) 치(癡, 무지, 어리석음)의 삼독. 그리고 여러 가지 유형의 번뇌가 만들어지는 메카니즘을 말한다. 결국 '꾸며진 나'로 인해 역설적이게도 자신의 존재감에 의문을 품게 되고 방황하게 된다는 것.
저자는 책을 통해 해답을 제시한다. 해답은 의외로 간단하다. 스스로에게 솔직해 지고, 긍정적인 사고를 갖고 솔직해 지는 훈련을 통해 내적 성숙을 이루고, '꾸며진 나'를 '자아'라고 잘못 알고 있는 사실을 버리라는 것. 즉 '무아'를 통해 자유를 찾기를 유도한다. 결국 '꾸며진 나'를 버릴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자극을 통해 만들어진 허상인 탓이다. 그렇지 못해 '꾸며진 나'에 계속 집착하다 보면 부정적인 사고의 틀을 벗어나지 못해 스스로를 망칠 수 있다는 것이다.
흔히 불교라는 용어가 들어가는 책을 접하다 보면 어려울 것이라는 선입견을 갖게 된다. 그런데 이 책 <불교 대인 심리학>은 그런 선입견을 단번에 해소해 버린다. 중간 중간에 삽입된 귀여운 만화와 삽화가 그렇고, 불교 교리를 설명하는 책이 아닌 자기계발서이기에 더욱 그렇다.
어쩌면 저자가 젊은 스님으로 일반 신도와 소통하려고 좌선을 주재하는 특이한 이력을 가졌기에 더 재미있었나 보다. 그동안 남들과 어울리기 위해 '꾸며진 나'를 앞세워 오지 않았나 하는 느낌이 들었다. 아무런 꾸밈이 없이 있는 그대로의 나를 보여주는 것이 진정 타인과 소통하는 방법이 아닐까 생각을 하며, 참선이나 명상을 통해 있는 그대로의 나를 찾아 보는 것도 의미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