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들에게 길을 묻다 - 영상아포리즘 01
김판용 지음 / 예감출판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글과 사진이 어우러지는 영상에세이는 아무리 읽어도 질리지 않는 장르다. 특히 사진 속에서 지나간 내 삶의 일부라도 찾았을 때의 느끼는 감정은 때로는 아름다움에 취해 행복을 만끽하는가 하면, 때로는 우울한 과거를 기억해내어 안타까움을 주기도 한다. 

<꽃들에게 길을 묻다>라는 책은 김판용선생의 영상에세이집이다. 간결한 글과 함께 수록한 사진은 작가의 마음을 잘 전달한다는 느낌을 받았다. 글과 사진이 서로 주고 받고 하는 의미가 재미있다. 

어려서 먹고살기 힘든 시절을 보냈고, 그래서 봄이 싫은 시인. 하지만 우리가 사소하게 여기며 관심조차 가지지 않는 들꽃이나 나무 하나 돌맹이 하나가 그에게는 소중하고 아름다운 세상을 꾸미는 소재들이다. 그래서 시인에게는 점점 사라져 가는 작은 학교나 간이역 조차도 남들처럼 우울하게 보지 않는다. 오히려 그 속에서 아름다움을 찾고 행여 그 아름다움을 잃어버릴까 두려워 카메라 앵글에 담았으리라. 

왜 꽃들에게 길을 물을까? 그 이유를 시인은 말한다. 나무나 풀이 꽃을 피우는 것은 제 속내를 밖으로 드러내고 싶어서 라는 것을. 그래서 꽃들의 눈높이에서 알아듣게 된다면 세상이 더 풍요롭지 않을까 하는 것이다. 하지만 목숨걸고 꽃을 피운다는 것은 뜨거운 사랑을 해본 사람만이 안다. 꺾어서 꽃병에 놓인 꽃에서 향기가 오래가는 이유가 사랑을 기다리기 때문이라는 것. 그래서 꽃병은 가끔 창밖으로 내놓고 벌과 나비가 날아오게 하는 것이 꽃들에게 덜 미안할 꺼라는 시인. 

부처님 오신날 연등에 이름을 쓰는 할머니들을 보면서, 그리고 정작 할머니 이름을 쓰는 분이 한 분도 없는 것을 보면서, 우리 어머니도 그랬을 거라며 어머니의 사랑을 이야기한다. 맞다 식물이 꽃을 목숨걸고 피우듯 우리의 어머니도 숭고한 생명을 탄생시키기 위해 목숨을 걸었다. 이 세상은 어머니들이 지탱해 온 것이다. 그래서 우리 어머니들은 위대한 것이다. 

책을 펼치면 제일 먼저 만나게 되는 문장이 너무 가슴에 와 닿는다. 

세상의 모든 길이 당신에게 있습니다. 당신이 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