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수현 기자의 나도 가끔은 커튼콜을 꿈꾼다
김수현 지음 / 음악세계 / 2010년 1월
평점 :
책 한 권을 통해 재미있는 체험을 많이 한 것 같다. 영국도 가보고, 많은 예술가들도 만나고, 세계적으로 유명한 공연들을 구경하고, 특히나 재미있는 체험은 버려진 공장에서 공연하는 사람과 같이 호흡한 <이도메네오>라는 오페라다. 반듯한 건물에서 경제 수준이 높은 관객들이 모여 즐기는 오페라라는 고정관념을 깨버렸기 때문이다. 관객도 출연자가 되어버리는 공연. 우리나라에서 흔히 마당극으로 진행되는 오페라라고 하면 비슷한 표현은 될 것 같다.
방송기자의 신분이기 때문에 사회의 여러 다양한 분야를 취재할 수 있었고, 또 예술에 관심이 있었기에 사회부 기자를 하면서 자신의 관심과 열정을 쏟으며 이런 재미있는 글을 쓸 수 있지 않았나 싶다. 글에서 묻어나오는 것은 그녀의 말처럼 전문가가 쓴 비평이 아니라 애호가가 쓴 수다다. 그래서 문화에 문외한에 가까운 나 조차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누구에게나 남들 하는 거 다 하고 살고 싶은 욕망은 다 가지고 있다. 다만 그것을 할 여유로움이나 경제력 또는 다른 다양한 이유 때문에 못하는 경우가 많다. 문화 생활의 경우는 더더욱 이런 경향이 뚜렷하다. 영화관람 내지는 공연 녹화방송을 시청하는 것 정도가 문화생활 전부라고 말하는 사람은 나만은 아닐 것이다. 그래서 나같은 경우에는 오페라, 연주회, 뮤지컬, 연극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문화장르를 애써 외면해 버린다. 바쁘다는 핑계로 말이다. 사실은 경제적인 여유지만 말이다. 그런면에서 영국에 있는 <스튜던트 스탠드바이>라는 제도는 참 부럽기만 하다.
솔직히 '예술가를 만나다'에 나오는 예술가중 아는 사람이 하나도 없었고, '잊을 수 없는 무대'에 나오는 오페라, 협주곡, 연극에 이르기 까지는 구경해 본 경험이 없다. 하지만 김수현 기자의 글을 통해 알게 되었고, 공연도 실컷 봤다는 생각이 든다. 꼭 시간을 내어 일년에 적어도 연극 두 편 이상은 봐야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기자일기, 엄마일기'와 '영국에서 살아보니'에서는 기자이기 이전에 두 딸의 엄마로서 그리고 평범한 가정주부로서의 면모도 보인다. 생활하면서 잊고 있었던 것에 대해 부끄러워 할줄도 알고, 뮤지컬을 보면서 펑펑 울줄도 아는 순수함도 보인다. 저자의 바램대로 피아노를 다시 배워 책 제목에서 처럼 커튼콜을 꼭 경험했으면 좋겠다. 아마추어 지휘자 카플란의 말처럼 무대에서 웃음거리가 되는 것을 후회하는 것 보다는 시도해 보지 않았던 것을 후회하지 않기를 말이다.
공연 문화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공연에 대한 칼럼 읽기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꼭 읽어보기를 권한다. 아니 공연에 관심이 없더라도 상관없다. 이 책을 읽고나면 나와 똑같은 감동을 느낄 것이니 말이다.
![](http://blog.ala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start.gif) |
|
|
|
같은 공연을 여러 번 보게 될 때가 있다. 새 공연 찾아보기도 벅찬데, 예전에 봤던 공연을 뭐 하러 또 보나 싶기도 하지만, 엄밀히 말해 '같은 공연'은 없다. 심지어 똑같은 배우, 똑같은 연출가의 공연이더라도 하루하루 공연은 달라진다. 어제 공연을 보는 나와 오늘 공연을 보는 나도 같은 사람이 아니다. - p149 |
|
|
|
![](http://blog.aladin.co.kr/fckeditor/editor/Images/quote_end.gi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