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과 체찰 - 조선의 지성 퇴계 이황의 마음공부법
신창호 지음 / 미다스북스 / 2010년 1월
평점 :
품절


요즘처럼 평생학습의 중요성이 새삼스레 강조되는 시절도 없는 것 같다. 자기계발 서적이 봇물처럼 쏟아지고, 역사를 새로 조명하는 연구도 활발하다. 특히 고전을 현대의 언어로 재해석하여 책으로 출간하는 경우도 많이 보인다.

예로부터 교육은 사람의 도리를 깨치는 인성교육이고 전인교육이었지만 지식습득의 장이 되어버린 것이 안타까운 현실이다. 특히 입시제도가 중심이 되어 버린 우리의 교육현장은 어린 학생들까지도 무한경쟁의 무대로 떠민다. 그래서 인성교육의 교훈을 고전에서 찾아 현대를 사는 우리들에게 학문하는 바른길을 다시금 생각하게 만든 책이 바로 <함양과 체찰>이다.

<함양과 체찰>은 조선이 낳은 세계적인 대학자인 퇴계 선생이 후학이나 제자들의 물음에 답한 편지들을 말년에 다시 추려 모아 책으로 엮은 <자성록>의 내용이 주를 이룬다. 퇴계 선생이 말하는 함양(涵養)은 인간의 본성을 보전하는 마음공부를 말하고 체찰(體察)은 마음에서 욕심을 제거하는 공부로 성찰을 말한다. 책 속에는 퇴계 선생은 율곡 선생에게 보내는 서신을 통해 성리학의 학문 수양 방법인 거경(居敬)과 궁리(窮理)를 인용한다. 거경은 내적 수양 방법이고 궁리는 외적 수양 방법이다.

책에서 말하는 공부법을 몇가지로 요약하자면 공부에 조급증을 가지지 말고 뜻을 세워야 하며, 명예욕을 다스리고 항상 부족하다는 겸손을 가져라는 것이 첫째다. 생활공부와 마음공부가 다르지 않다는 것과 아는 것을 행동하라는 것. 참다운 공부는 마음을 다스려 집중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넓게 익히고 교류하여 스스로 지식 감옥에 갇히는 것을 경계할 것을 이야기 한다. 아마도 그 당시에도 지금처럼 공부를 출세와 권력욕에 이용한 이가 많았다는 것은 충분히 이해가 가고도 남는다.

특히 기대성과 <사단 칠정론>에 대해 논하는 서신은 참 흥미롭다. 학교 다닐적에 제목은 들어봤지만 자세한 내용이 기억나지 않기에 더 흥미를 끌었다. 사단(인,의,예,지)과 칠정(희,노,애,락,애,오,욕)을 리와 기로 나누어 설명하는 부분은 사실 좀 어려웠지만 무슨 말인지 희미하게나마 알게 되었다.

2010년 올해는 조선이 낳은 세계적인 대학자인 퇴계 선생 탄생 510주년이 되는 해이다. 1970년 퇴계 서거 400주년 기념 학술행사를 시작으로 퇴계학에 대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급속하게 늘고 있다니 다행스럽기도 하고, 같은 민족으로서 자부심도 느껴진다.

한국 양명학의 시조인 남시보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퇴계 선생의 독서법이 소개된다. 마음을 괴로울 정도로 심하게 읽지 말고, 많이 읽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 답장으로 보낸 서신들로 미루어 퇴계 선생도 생전에 많은 책을 탐독하신 것 같다. 그래서 앞으로 나도 여유로운 독서생활을 하도록 해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