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의 비밀
요슈타인 가아더 지음, 백설자 옮김 / 현암사 / 199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요슈타인 가아더의 책은 처음이었다. <소피의 세계>로 우리에게 더 익숙한 작가다. 교편을 잡는 선생님 출신의 작가로 이 책 <카드의 비밀>은 작가가 밝히는 이 책은 철학을 소설로 풀어 쓴 책이란다. 사실 독서모임에서 정하지 않았다면 읽었을까 생각되는 책이다. 얼마전부터 책 읽기를 다시 시작한 나에겐 요슈타인 가아더 라는 사람 이름도 생소할 뿐만 아니라 이 책 제목도 처음 들었기 때문이다.

책을 받고 몇 장을 넘기면서 하 이거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목차가 신선하다. 스페이드 에이스부터 하트 킹까지, 처음에는 철학을 말하는 책이라고 해서 주역처럼 생각했더랬다. 근데 아니다. 소설이다. 그것도 재미있게 꾸며가는 소설이다.

소설을 단순하게 표현한다면 아버지와 아들이 집을 떠난 엄마를 찾아가는 조금은 이상한 내용의 소설이다. 물론 이상하다는 기준은 우리나라 기준이기는 하지만. 그런데 이 여정 속에는 단순히 찾아가는 여정이 있는 반면에 아버지와 아들이 철학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면서 진행되는 철학 이야기가 있고, 이 책의 독특한 구성인 주인공 한스가 작은책을 통해 간접 체험하는 마법의 섬 이야기가 있다. 

솔직히 나에게는 아버지와 아들이 나누는 철학이야기는 별 감흥이 오지 않는다. 아마도 얼마전에 읽었던 조섣오씨의 <철학에세이> 때문인 것 같다. 변증법적 유물론에 대한 책이다 보니 너무 한쪽으로 치우쳤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마법의 섬에서 프로데가 상상으로 만들어 낸 카드들. 혼자 놀기의 진수도 이런 아이러니는 없다. 정말 그런 일이 일어난다면 정말 재미잇을 것 같다. 나중에 섬이 가라않을 때 다시 카드로 돌아가는 난쟁이 카드들. 그런데 한가지 의문이 남는다. 다른 카드 난쟁이는 다들 카드로 돌아가지만 조커는 아니다. 왜 그럴까? 왜 작가는 조커를 다시 카드로 돌아가지 않도록 했을까? 물론 아무데도 속하지 않는 조커의 성질이나 다른 카드와는 다르게 프로데가 같이 놀던 카드가 아닌 스스로 찾아온 카드라서 그랬을까? 

우연을 가장한 필연의 이야기도 그렇다. 저자의 의도대로 조커가 주인공을 계속 따라다니는 난쟁이처럼 세상에 조커는 반드시 필요하다는 저자의 의도와는 다르게 한스 토마스에서 끝나는 조커놀이의 결론은 조커의 존재유무에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가 있다. 왜냐면 더 이상 조커놀이를 할 수 있는 카드가 없기 때문이다. 

카드가 유래된 내력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이 책에서 작가가 해석하는 카드는 정말 재미있다. 조커를 위해 조커의 날을 만들었고, 카드를 통해 세월이 지남을 알 수 있다는 것은 조금은 황당하게 들릴 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저자가 만든 법칙은 나무랄 데가 없는 법칙이다. 

1부터 13까지 13장의 카드가 스페이드, 다이아, 클럽, 하트 무늬별로 각각 있으니 13*4=52장의 카드다. 일년이 52주 1일 또는 2일이다. 결국 364일을 제외한 날짜는 조커의 날이다. 그래서 조커의 날은 1년에 하루씩, 그리고 돌아오는 윤년마다 하루가 더 추가하게 되는 것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우리는 모두 이 세상에 조커로 태어난다고 한다. 다만 자라나면서 조커인줄 모르고 일반 카드와 동화되면서 자신을 잊어버린다고 한다. 

여행을 통해 유럽의 역사와 실존철학에 대해 쓰고 싶었다는 저자의 말에 솔직히 조금은 아쉽다. 왜냐면 철학은 철학사나 실존주의 철학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