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을 만든 사람들 - 나라를 위한 선비들의 맞대결
이성무 지음 / 청아출판사 / 2009년 11월
평점 :
흔히들 역사는 투쟁과 대립의 산물이라는 말을 많이 듣는다. 분열과 단합, 대립과 화해, 이는 비단 조선의 역사에 국한된 용어가 아니다. 하지만 현 시대와 가장 가까이에 있지만, 너무 먼 역사가 바로 조선시대의 역사가 아닌가 싶다.
<조선을 만든 사람들>은 조선 건국에서 부터 구한말까지 살아온 열네 명의 선비들을 통해 대립과 화합, 갈등과 분열 등 조선의 역사가 어떻게 만들어져 왔는지를 밝히는 책이다.
책에는 권력의 갈등으로 인한 죽음이 있다. 조선 건국공신인 정도전을 제거하는 이방원의 이야기와 조광조를 모함하여 기묘사화를 일으킨 남곤의 이야기가 바로 그 것이다. 첫 번째 갈등은 재상중심의 정치를 펼칠 것인가와 왕권중심의 정치를 펼칠까하는 이념으로도 대비되지만 무엇보다 왕자들의 난으로 불려지는 권력싸움에 정도전이 희생된 것이 사실이지 않나 싶다. 그리고 두 번째 갈등은 익히 알려진 바와 같이 훈구파와 사림파의 갈등으로 대변되는 최초의 붕당, 즉 당파의 시작이 아닌가 싶다.
이어 조선시대에 뿌리깊은 사상으로 작용하는 유교 즉 주자학의 중심으로 역사가 펼쳐진다. 먼저 퇴계선생와 남명선생의 이야기다. 동갑내기인 두 사람중 한 사람은 관직에 나아가서 뜻을 폈고, 나머지 한 사람은 관직에 나가지 않는다. 이유도 간단하다. 시대를 보는 관점이 달랐고, 이루는 방법 또한 달랐기 때문이다. 이이와 유성룡의 십만양병설에 대한 의미를 찾아보는 데서 동인과 서인의 갈등이 묘사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이 두 어른은 서로가 갈등하고 반목하는 것보다 화합하도록 노력한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이후의 내용은 주화파와 척화파의 대립, 남인과 서인의 대립, 노론과 소론의 갈등이 그 시대의 조정과 관련한 내용으로 회자된다. 안타까운 이야기지만 결국 주자학이라는 한 뿌리의 사상이 세도정치와 줄서기와 맞물리면서 갈등이 시작되어 버린다. 결국 목숨까지도 위협하는 권력의 무상을 실감하게 되지만 말이다.
책을 덮으면서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조선시대에도 오늘날과 마찬가지로 보혁의 갈등이 있었다는 것. 그리고 그 중심에는 물론 왕이 있었겠지만 왕들조차도 어찌할 수 없는 무리들. 만일 그 당시 개혁파들이 역사의 승자로 남았다면 지금 우리의 역사는 어떻게 되었을까? 특히나 정조가 죽고 노론 벽파의 중심이었던 심환지가 정조때 시행했던 모든 개혁을 깡그리 원위치 시키는 것을 보면서 오늘을 사는 우리 사회와 어쩜 그리 비슷할까 하는 생각에 끔찍하기까지 하다.
다산선생의 편지글에서 의미심장한 글이 있어 인용한다.
천하에는 두 개의 큰 기준이 있으니, 하나는 옳고 그름의 기준이고, 다른 하나는 이롭고 해로움의 기준이다. 이 두 가지 기준에서 네 단계의 큰 등급이 나오는데 옳은 것을 지키며 이익을 얻는 것이 가장 높은 등급이고, 그다음은 옳은 것을 지키면서 해를 입는 것이고, 그다음은 옳지 않은 것을 추종해 이익을 얻는 것이고, 가장 낮은 등급은 옳지 않은 것을 추종해 해를 입는 것이다. -p2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