셜록 홈즈 : 주홍색 연구 펭귄클래식 58
아서 코난 도일 지음, 에드 글리네르트 주해, 이언 싱클레어 작품해설, 남명성 옮김 / 펭귄클래식코리아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탐정소설을 좋아하지 않는 사람들이라 하더라도 들어보면 기억나는 이름들이 있다. 그것은 소설속의 주인공 이름일 수도 있고 그 소설을 쓴 작가일 수도 있다. 그래서 적어도 초등학교 저학년을 벗어나면 아서 코나 도일이라는 이름이나 셜록 홈즈라는 이름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 같다. 소설을 읽지 않았다 하더라도 말이다.

학창시절에 탐정소설에 빠졌던 적이 있었다. 셜록 홈즈에 반했을 때도 있었고, 괴도 루팡에 빠졌을 때도 있었다. 그리고는 다른 책들로 인해 다른 작가의 책은 별로 읽어 보지 못한 것 같다. 특히 애드가 알란 포의 책은 읽은 것 같은데 잘 모르겠고, 요즘은 스릴러라는 장르로 일본쪽에서 다양한 탐정소설 작가들이 등장하는 것 같다.

<주홍색 연구>가 셜록 홈즈 시리즈중 첫 작품이었다는 것을 알지 못했던 것 같다. 예전에는 책을 어떤 의미를 부여한다든지 아니면 이 작품이 어떤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는 것은 상상해 본적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처음에 다소 기억이 나지 않는 필체가 이어지지만 곧 예전에 읽었던 소설이라는 느낌이 되 살아난다.

얼마전 본 영화를 생각하면서 읽다보니 조금은 어색하다. 영화 속에서는 홈즈와 왓슨은 친구사이다. 이 소설에서는 서로를 존칭하는 친구보다는 조금 어색한 사이이기 때문이다. 그래도 왓슨이 홈즈에게 반하는 장면에서 영화의 앞부분을 보는 듯 하여 재미를 더한다.

본래 탐정소설은 치밀한 스토리의 구성과 세심한 소품들로 주인공이 사건을 풀어 헤치는 것을 보며 반한다. 특히 몰랐던 과학적인 방법이 나오면 특히 더 그렇다. 셜록 홈즈는 책에서도 밝혔듯이 사건을 해결하기 위한 것에만 도가 튼 사람이다. 그래서 얄팍한 천문학 수준이 살아가는데 아무런 지장을 주지 않는 까닭이다.

어쩌면 120페이지 정도로 구성된 앞쪽 이야기에 사건의 동기를 삽입하면 대략 150페이지만 해도 될 분량이다. 그런데 사건의 동기를 서부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면서 100페이지 분량이 더해진다. 당시에는 이 것이 소설을 쓰는 한 방법이었는지는 몰라도 지금은 다양한 실험이 가해진다. 특히 얼마전에 읽었던 히가시노 게이고의 <붉은 손가락>을 보면 범인을 미리 밝히고 소설을 전개한다. 아마도 코난 도일의 전개법을 약간 변형해 보고 싶었을 지도 모르겠다.

작가의 입장에서 보면 재미있을 법도 하다. 주인공은 셜록 홈즈인데 왓슨의 고백 형식으로 풀어 나가야 하고, 그것은 전적으로 작가인 코난 도일의 몫이다. 그렇다면 작가는 주인공의 이야기를 대리인의 입을 통해 듣고 이를 다시 옮기는 형식이라는 이야기인데 소설을 읽는 내내 그런 느낌은 전혀 들지 않는다. 오히려 자연스럽게 느껴진다. 팽귄클래식으로 본 고전은 역시 신선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