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시절 상처가 나에게 말한다 - 나하고 얘기 좀 할래?
울리케 담 지음, 문은숙 옮김 / 펼침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우리는 어렸을 적 상처를 받았던 기억도 있고, 행복했던 기억, 아름다운 기억들을 어른이 된 지금에도 어린아이때의 감성으로 무의식 속에서 안고 살아간다. 이 책은 그러한 기억들 때문에 인생 전반적으로 심리적으로 문제를 안고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내면에 있는 아이와 대화를 통해 화해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이다.

책에서 제시하는 여러가지 사례를 통해 솔직히 조금 놀랐다. 많은 상담자들의 사례에서 그 곳에 있는 어린아이와 대화를 통해 밝혀지는 사실들은 어찌보면 우리가 평소 느끼는 두려움이나 불안감을 거의 정확히 지적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걱정할 필요는 없다. 내면의 아이는 우리가 실수를 하지 않게 하기 위해, 또 내면의 아이는 우리가 잘하기를 바라기 때문에 수 많은 경고의 목소리를 내는 것이라는 것이기 때문이다.

누구나 과거를 용서하고 털어버리려고 한다. 하지만 그러면 그럴수록 더 또렷히 각인되는 것이 과거다. 그래서 이 책에서는 과거를 현재와 마찬가지로 있는 그대로 인정해야 한다는 것을 이야기 한다. 다만 문제가 되는 원인들에 대해서는 인정함을 통해 털어버릴 것을 권한다. 남을 위해 자신을 희생시키는 희생양이 되기 보다는 자신을 사랑하고 자신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고 대신 책임지란다.

내면의 아이와 대화하는 것을 내면대화요법이라고 한다. 이 책에서는 혼자서 할 수 있는 내면대화요법도 있고 비전문가나 전문 상담사를 통해 할 수 있는 내면대화요법도 소개한다. 살아가는 매 순간마다 반복되는 문제의 기억들, 해결할 수 없으면 자신만의 마법금고를 만들어 그 속에 넣고 가장 안전한 장소에 숨겨두는 방법도 있다. 중요한 것은 나중에 그런 기억을 극복할 수 있을 때가 오면 언제든지 꺼내주겠다고 하면서 금고에 넣고 숨겨라는 것이다.

자식을 키우는 부모 입장에서 보면 자식이 마음에 상처를 입지 않게 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특히 부모로부터 많은 간섭을 받고 자란 사람들 대부분이 부모가 되면 그렇게 하지 않겠다고 다짐을 한다. 하지만 그런 부모조차도 모르는 사이에 자신를 키웠던 부모처럼 행동하고 있는 모습이 나와버린다. 그런 사람들에게는 부모가 과거의 문제가 될 수 밖에 없다. 그래서 인정하고 털어야 하는 것이다. 나를 낳아서 길러준 것에는 감사하지만 나에게 끼친 나쁜 영향들은 지금부터 털어버리겠다는 의식을 통해서 말이다.

책 전체의 이야기를 요약하고 저자의 의도를 정확히 지적하고 있는 글이 보인다.


우리 안에는 여러 목소리가 있다.
어린 시절의 상처와 경험이 여러 형태로 존재하는 '내면의 아이'
우리 스스로를 비난하고 독촉하는 '내면의 비판자'
그리고 이런 목소리들을 통제하는 중심 목소리인 '의식된 자아'까지
당신은 이런 목소리들과 대화하고 있는가?

- 책의 뒷표지에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