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예술에 살고 예술에 죽다 - 격동의 20세기를 살았던 15인의 예술가
진회숙 지음 / 청아출판사 / 2009년 10월
평점 :
격동의 20세기를 살았다가 간 열 다섯명의 예술가를 통해본 그들의 삶은 역사상의 가치에 대해서는 논외로 해야한다. 왜냐면 살아온 삶이 옳다 그러다라고 이분법적인 선택을 무의식중에 강요당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고바우영감으로 너무나 유명한 김성환화백, 우리나라 현대 건축의 새 장을 열었고, 건축 전문잡지인 공간을 만든 김수근대표, 친일로 얼룩졌으나 눈 감을 때까지 호강한 사람 김은호화가, 성악계의 대모 김자경선생님, 유명한 영화감독이었던 나운규감독과 이만희감독 등 이 책은 1900년대를 가로지르며 살아온 예술인 15명에 대한 삶을 재조명해보는 짧막한 소개글이다.
친일로 얼룩졌던 사람들중 김은호화가의 경우는 김기창과 같은 훌륭한(?) 재자를 둔 까닭에 우리나라 미술계에 뿌리가 깊지만 한국화를 말살하는데 앞장선(?) 대표적인 인물이라고 생각된다. 뭐 우리나라 애국가를 작곡한 안익태선생님 또한 친일의 흔적을 지울 수는 없지만 말이다.
너무 비관적인 이야기만 하다보니 정작 하고 싶은 이야기가 빠져버렸다. 이 책을 읽고 정말 가슴에 와닿는 삶이 있었다. 바로 아동문학가 윤석중선생님과 문화재수집가 간송 전형필선생님이다.
윤석중선생님에 대해서는 그렇게 크게 언급을 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 살아계실때 한평생을 어린이를 위해 바치셨고, 우리가 초등학교에서 배운 대부분의 동요가 이 분이 작사했다는 사실은 따로 이야기 할 필요조차도 없으니 말이다. 알고 있는 동요 대부분이 윤석중선생님이 작사한 곡이라고 생각하면 90퍼센트 이상은 맞으니 말이다.
그에 비해 간송 전형필 선생님에 대한 이야기는 이 책에서 처음 접하는 부분이었다. 부모로 부터 물려받은 재산으로 우리 문화재를 지키는데 사용한 사람. 간송 선생이 수집한 문화재 중에는 국보급에 해당되는 명품이 많다. 훈민정음 원본에서부터 고려청자, 조선백자에 이르기까지. 그뿐만이 아니다. 추사 김정희의 서화나 병풍, 그리고 김홍도, 신윤복, 김득신의 풍속화는 물론 한석봉의 글씨와 그림까지 엄청난 양이다. 이 모든 문화재가 간송 미술관에 전시되어 있다니 다음에 꼭 한번 가서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람에게 정치적인 생명이 없다면 그냥 나고 살고 죽는 평범한 삶일수 밖에 없을 것이다. 하지만 정치적인 생명을 불태우며 살아가는 사람은 그 자신의 훌륭한 삶을 후대에 많은 영향을 끼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친일로 얼룩진 예술인도 있고, 사상과 이념때문에 월북한 예술인도 있다. 그렇지만 정말 존경이 우러나와 고개가 숙여지는 예술인도 있다.
아쉼다. 20세기를 살았던 예술인중 정말 거목이 빠졌다. 윤이상이다. 분단을 정치적으로 악용해 먹은 사람들때문에 끝내 귀국하지 못하고 타국에서 쓸쓸히 생을 마친 20세기 거목 윤이상. 15인의 예술가중 한명을 빼고 이 분을 넣고싶은 생각은 추호도 없다. 그냥 16명으로 했으면 더 나을 뻔 했다는 생각은 나만 하는 건지도 모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