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림슨의 미궁
기시 유스케 지음, 김미영 옮김 / 창해 / 2009년 12월
평점 :
품절


스릴러라는 장르를 몰랐다. 아니 그런 장르가 있다는 것을 며칠전에 알았다. 판타지계열을 좋아하는 내가 그냥 탐정소설이나 추리소설의 장르로 알고 읽었던 책들이 스릴러라는 장르였다는 것을 안 것만으로도 기분 좋다.
 
기시 유스케라는 작가를 안 것도 이 책을 읽고서야 비로소 알게 되었다. 책 속에 끼워져 있는 전단지에서 <검은 집>, <푸른 불꽃>, <천사의 속삭임>, <13번째 인격> 이라는 작품을 내었다는 사실을 알았다. 근데 한 권도 읽어본 적이 없는 소설이었다.
 
이 책을 읽고 어디까지 이야기를 해야할지 정말 혼란이 온다. 책을 읽고 싶어하는 사람들에게 꼭 읽어 보라고 권하고 싶은데, 느낌만으로는 그런 내 마음을 전달하기 어렵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게임을 기획한 사람이 만든 서바이블 게임, 상대를 죽이지 못하면 내가 죽는 그런 게임에서 이 책의 주인공은 나오는 남자중에는 가장 약한 남자다. 그런 남자가 다른 경쟁자들과 싸우는 이야기다. 장소는 화성이다. 아니 지구에서 화성으로 못가기 때문에 남반구 한 공원으로 정한다. 아홉 팀이 시작해서 한 팀만 남는 서바이블 게임, 제로섬 게임, 정말 진지하다. 아니 진행되는 순간 순간 읽기가 너무 힘들다. 어드벤처가 아닌 호러에 가깝다.
 
왜 라는 궁금증이 너무 많이 들었는데 의외로 나오는 답이 가관이다. 알아서 풀어가라는 것이 그것인데, 그렇다고 답도 없다. 다만 살아서 나가야 한다는 것만 존재한다. 무대가 벙글벙글이라는 공원으로 오스트레일리아다. 작자가 만든 함정이 있다. 소설 곳 곳에 만들어 놓은 함정들. 결국은 무었때문에 그랬나 하는 부분이 남는다. 내가 그런 경우를 당했다고 하면 어처구니가 없다는 생각이 든다.
 
크림슨의 미로는 나에게 엄청난 충격을 준다. 필자가 막판에 밝이는 이야기 그런 이야기 조차도 재미있다. 왜 라는 물음을 일부나마 해소해 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왜(Why)에 대한 해답이 또 다른 왜라는 의문의 꼬리를 문다.
 
게임북에서 이야기 하는 결말은 세가지다. 첫째는 데드엔드. 즉 죽어면서 끝난다. 대부분의 참여자들이 당하는 결말이다. 두번째는 해피엔드. 살아남아 상금도 받는 거다. 결말부분에 가면 주인공이 해피엔드인 듯하지만 엄밀히 따져 해피엔드는 아닌 것 같다. 마지막의 결말은 트루엔드다. 병실에 누워 목숨만 건진 결말. 사실 결말부분을 보면 트루엔드에 가깝다. 하지만 주인공은 상금을 챙겼기 때문에 해피엔드 일 수도 있다.
 
누군가 영화를 찍기 위해 상금을 걸고 사람을 죽이는 서바이블 게임을 개최한다면 어떨까? 그것도 처음에는 사람을 죽여야 한다는 사실 조차도 모르고 게임에 참여하게 된다면? 그리고 오직 게임기를 통해 모든 정보를 받아서 게임을 풀어나가야 한다면 말이다.
 
이 글을 읽는 여러분이 그 게임에서 주인공을 따라 경험해 보기를 권한다. 식시귀(사람을 잡아먹는 귀신)의 추적을 피해 도망가면서 살아남는 서바이블 게임. 당신은 식시귀가 되어 주인공을 쫓아 갈수도 있고, 주인공이 되어 끝까지 살아남을 수도 있다. 그 몫은 당신의 몫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