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비 1 - 神秘
하병무 지음 / 밝은세상 / 2009년 11월
평점 :
품절


오랜만에 재미있는 역사소설을 읽었다. 두권이나 되는 책을 첫권을 들자마자 한숨에 읽어내려 버렸다. 마지막에 쓰여진 알림을 보고 머리에 갑자기 띵 하는 충격이 왔다. 이 소설은 작가의 무한한 상상의 나래가 엮여진 픽션이 아닌 소설이었구나. 광개토태왕에 대한 비밀스러운 역사가 픽션으로 종결되었지만 그랬을 것이라는 생각으로 정리를 했다.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위대했던 사람을 꼽으라면 많은 사람들이 주저없이 광개토태왕을 꼽을 것이다. 예전에 5만원권 지폐에 누구를 모델로 쓸까 하는 물어본 적이 있었다. 지금 신사임당이 들어가 있는 자리에 사실 광개토태왕이 들어가줬으면 하고 많은 네티즌들이 바란바 있었고, 지금 대통령이 된 사람도 후보시절에 광개토태왕이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한 TV토론회에서 개진했었다.

저자 하병무가 그려내는 1600년전의 고구려는 정말 상쾌하다. 읽는 내내 예전에 드라마로 잠시 봤던 태왕사신기가 그려진다. 역사소설이 한편의 드라마처럼 이렇게 가슴에 와닿는 것은 정말이지 신기하다.

소설은 국강상광개토경평안호태왕(광개토태왕)의 비문에 새겨진 서른아홉에 나라를 버렸다는 글에서 영감을 얻어 중국 지안 태양의 묘역 부근에서 발견된 무덤속에서 발견된 <신비(神秘)>라는 책에서부터 시작된다.

신비라는 책은 광개토태왕의 지밀내관이며 호위무사인 두절의 고백을 책으로 옮긴 것으로 묘사한다. 신비는 무신비기 즉 전쟁신이었던 광개토태왕의 비밀을 간직한 책이다.

두 절의 등장도 사뭇 진지하다. 말갈족으로 태어난 두절은 처음부터 이름이 두절이 아니었다. 같은 말갈족인 흑색비적에게 온 가족을 잃고 죽어가는 것을 장차 광개토태왕이 될 담덕애기씨에게 발견되어 평생을 호위무사로 가게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가장 핵심적인 부분은 진초영의 등장이다. 백잔(백제)의 장수 진만후의 여식으로 태사시절 백잔을 죽은 자기 아비의 시신을 수급하러 왔다가 이상한 인연을 만들어 버린다. 결국 작가는 이 이상한 만남을 운명으로 만들어 버렸다. 그리고 서른아홉에 나라를 버리게 만드는 이유로 만들어 버렸다.

여러가지가 겹쳐진다. 예전에 본 영화 무극에서 맡은 장동건의 역할이 두절과 겹쳐진다. 이 것 말고도 많은 것이 겹쳐지는데 도무지 글로 표현이 안된다. 역사소설은 역사적인 사실을 기본테마로 삼지만 풀어가는 방식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가공의 인물들이 많다. 그래서 겹치는 것을 표현하기가 너무 어렵지 않을까 생각된다.

사실같은 소설을 쓴 작자에게 무한한 존경의 뜻을 전한다. 아울러 이 책이 고구려에 대한 역사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여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