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랑 치타가 달려간다 - 2009 제3회 블루픽션상 수상작 블루픽션 (비룡소 청소년 문학선) 40
박선희 지음 / 비룡소 / 2009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파랑 치타는 이 소설에 나오는 주인공 강호가 타고 질주하는 오토바이 이름이다. 달리는 파랑 치타는 소설속의 주인공들이 만든 밴드부의 이름이다. 강호, 영재, 이경, 그리고 이들과는 조금 다른 도윤, 이들에게 정신적인 지주가 되어주고 아낌없는 후원을 해주는 김세윤 선생님.

강호는 고등학교 1학년이다. 강이라는 여동생과 아버지와 같이 산다. 하지만 그에겐 엄마가 없다. 아버지의 폭력이 너무 심해 어릴때 두 남매를 버리고 도망갔기 때문이다. 두번째 엄마도, 소설 처음에 등장하는 세번째 엄마도 아버지의 폭력때문에 도망갔거나 간다. 이 소설에서 강호가 맡은 역은 집안과 학교, 사회에서 적응하지 못하고 불평만 해대는 불량소년이다. 학교에서는 담배피다 걸린 적도 있고, 잦은 결석으로 불량한 학생으로 낙인 찍힌지 오래다.

도윤은 강호가 있는 학교로 전학온 전학생이다. 특목고에서 1학기를 못견디고 오기는 했지만, 책을 손에서 놓지 않는 전형적인 모범생이다. 사실 도윤은 강호와 초등학교때 단짝이었던 적이 있었다. 엘리트 코스를 고집하는 엄마때문에 이유도 모르고 결별하게 되지만, 우연히도 이 둘은 한 책상을 나란히 같이 쓰게 된다.

이야기는 강호와 도윤이 번갈아 가면서 그려 나간다. 세번째 엄마때문에 네번째 가출하는 강호는 주유소에서 시급 삼천원짜리 일을 하면서 학교를 다닌다. 오토바이를 갖고 싶어한다. 주유소에서 형으로 알고 지내던 건우형이 가지고 있던 오토바이에 욕심을 내며, 몇달 아르바이트를 통해 결국 그 오토바이를 사게 된다.

이들에게는 오토바이 말고도 다른 스트레스 해소책이 있었다. 클럽 몽의 등장이 바로 그것. 오천원 입장료만 내고 들어가면 마실 물 한병으로 인디밴드의 공연을 볼 수 있었던 것. 관중 대부분이 10대 청소년인 클럽. 이 클럽이 주인공들을 밴드부라는 또 다른 상징을 그려내고 만다.

결국 밴드부를 매개로 강호와 도윤은 다시 초등학교시절의 친구로 돌아가지만 이둘에게는 아직도 도윤의 엄마가 장애물로 버티고 있다. 역시 장애물 때문에 개발활동 시간을 할애해야 하는 밴드부는 학교에서 버림을 받는다. 대신 이들은 클럽 몽에서 인디밴드의 오프닝공연에서 공연을 하기로 한다.

역시 결론은 해피엔딩이다. 묘한 감흥을 불러 일으키지만 오프닝공연에 참석한 도윤의 엄마의 모습에서 자식이 바라는 것이 무엇인지 알지만 세상은 그렇게 녹녹치 않다는 것을 말하려는 듯한 것을 느낀다.

오랜만에 청소년소설을 읽게 되었다. 사실 클럽 몽에 대한 묘사와 공연에 대한 묘사는 너무 귀 가까이 다가와 공연장에 내가 있었다는 착각마저 일으킬 정도로 느껴졌다. 독도는 우리땅 , 로보트 태권 브이, 그리고 신중현의 미인을 연주하는 모습을 머리속에 그리면서 누구나 자신의 눈으로 세상을 본다는 평범한 진리를 어른들이 자식을 대할 때에는 잊어 버리는 우를 범한다.

내게 강호는 처음부터 불량소년이나 불량학생으로 다가오지 않았다. 너무 순진하고 바른 길을 가려고 하는 그런 점이 오히려 또래의 청소년의 평범한 모습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