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 오빠 부자 동생
로버트 기요사키 외 지음, 이주혜 옮김 / 명진출판사 / 2009년 10월
평점 :
품절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그후 10년

부자 아빠 시리즈를 통해 로버트 가요사키는 부자란 돈의 노예가 아니라 돈의 주인이 되어야 한다는 강한 메시지를 전달하였지만 10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아니 그 전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돈의 노예가 되어 있다고 개탄한다. 그래서 자신이 방황하면서 그토록 찾고자 한 "소명" 이라는 것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한다.

로버트와 애미는 오누이관계다. 2남2여중 첫째, 둘째인 이들은 커오는 과정이나 닥쳤던 위기, 이를 극복하는 방법 등 서로 다른 삶을 살아왔다. 그러나 그토록 방황하면서 찾고자 한 것은 신이 그들에게 주었던 소명을 찾기위함을 깨닮기 위함이었고, 그렇기 때문에 비록 티벳불교에 귀의하여 가진 것 변변치 않아도 동생 에미 기요사키도 부자라는 로버트 기요사키의 이야기는 조금 억지같은 느낌도 든다.

로버트는 우리에게 책을 통해 세가지를 요구한다.

먼저 훌륭한 멘토를 구하라는 것, 그리고 지속적으로 자기계발을 하라는 것.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영적 가족을 만나라는 것.

이에 반해 애미는 멘토를 제외하고는 로버트와 똑같은 것을 말하는 듯 하다.

책에서는 이 두사람에게 동시에 영향을 끼쳤던 미래학자 풀러 박사에 대한 이야기와 그중 로버트의 인생을 바꾼 4가지 원리를 소개한다. 모든 개체는 복수이고, 선행과 단명화, 지체의 원리를. 그러면서도 남에게 베풀어야 한다는 자신의 의견도 빼놓지 않았다.

결국 부자가 되는 것. 우리가 흔히 많이 놓쳐버리는 부분은 부자가 되는 것과 성공한다는 것은 다르다는 것이다. 소명이라는 단어가 신이 부여한 내 삶의 목적이라고 로버트는 이야기하지만 내 생각은 다르다. 그렇게 살아야 하는 삶이 옳은 것이라면 내 자신이 후회하지 않을 정도로 사는 것만으로 행복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나는 달라이라마에 대해서는 약간의 선입감을 가지고 있다. 작년인가 사회진보연대 홈페이지에서 <조작된 신화(티벳과 달라이라마)>라는 글을 읽은 적이 있다. 신국 티벳의 과거이야기다. 신처럼 떠 받들려 있는 달라이라마는 결국 티벳사회에서는 지배계급이었다는 것이다. 소수의 지배계급과 노예와 같은 삶을 강요당한채 살아가야 했던 다수의 피지배계급. 그 속에는 인도사회보다도 더 엄격한 신분사회가 있었다는 사실때문이다. 그렇다고 티벳을 점령하고 있는 중국을 두둔하고 싶은 생각은 전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