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 탈출 소동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142
마이클 베다드 글 그림, 강미라 옮김 / 시공주니어 / 2002년 6월
평점 :
절판


한 마디로 마치 만화 영화를 보는 느낌이 드는 그림책입니다. 내용도 무척 재미있지만 깔끔하고 선명하면서도 마치 입체적인 느낌이 드는 그림이 책을 보는 재미를 더해 주는 것 같은 생각이 듭니다.

"오리 탈출 소동" 말 그대로 악어들이 운영하는 거대한 오리 공장에서 오리들이 자유를 찾아가는 과정을 그린 동화입니다.

자신의 친구들을 악어의 먹이로 놔둘 수 없어 자유로운 세상으로 구출해 내기 위해 애쓰는 한 마리의 오리와 그 오리를 구해주고 친구가 된 멋진 악어의 모습이 나옵니다.

엄청나게 큰 오리 공장은 오리알들을 기계로 부화시켜 아기 오리들을 태어나게 하는 곳입니다. 그리고 그 오리들은 다른 곳으로 옮겨져 악어들의 먹이가 될 준비를 하지요. 뚱뚱하게 살을 찌워 날지 못하게 하고 또 아무것도 모른 채 나중에는 맛있는 먹이가 되는 것이지요.

또한 이런 겉으로 보이는 이야기 뿐 아니라 악어들이 만든 공장은 거대한 산업 사회의 모습을 풍자하는 느낌이 듭니다. 함께 어울려 서로 도우며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보다는 점차 거대화되고 기계화되면서 점점 이기적이고 고립되어 가는 현재의 모습을 꼬집고 있는 것 같네요.

이 그림책 속에서 수많은 오리들은 결국 맛있는 오리 파이, 오리찜 같은 요리가 되지만 결코 그 때까지 자신들의 운명을 알지 못합니다.

우연히 알에서 부화하는 게 늦어 바닥으로 굴러 떨어진 알에서 태어난 아기 오리. 공장의 거대한 기계에서 빠져 나온 아기 오리는 공장을 돌아다니다 한 악어를 만납니다.

악어를 만나기 까지 돌아다닌 공장은 모든것이 기계로 인해 자동화되어 있습니다. 현대 사회의 단면을 잘 엿볼 수 있는 그림이지요. 오리를 만난 공장의 직원인 악어는 다른 오리들고 같이 보내지 않고, 나중에 자신이 먹기 위해 몰래 아기 오리를 도시락에 넣어 집으로 가지고 옵니다.

악어들이 퇴근하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는 모습도 참 재미있답니다. 집으로 돌아온 악어는 아기 오리를 꺼뱁니다. 하지만 악어는 자신을 빤히 쳐다보며 재롱을 떠는 오리를 잡아 먹을 수 없음을 알지요. 결국 악어와 오리는 둘도 없는 친구가 되면서 점점 우정을 쌓아갑니다.

어느 날, 오리는 악어가 돌아오기만을 기다리다 뮤료해집니다. 집 밖으로 혼자 나간 오리는 길을 잃게 되고, 음식점을 찾아간 오리는 웨이터 오리로 변장한 커다란 악어에게 잡혀 오리찜이 될뻔합니다.

다행히 친구인 악어의 도움으로 무사히 빠져나오게 되고, 악어는 오리에게 현재 일어나고 있는 상황에 대해 정확하게 이야기해 줍니다. 공장에서 오리들이 알을 깨고 나오면 오리 마을로 보내 뚱뚱하게 만들어 날지 못하게 한 다음, 식당의 요리가 되어 악어들의 음식이되는 것을...

아직도 실감을 하지 못하는 오리에게 악어는 식당으로 가서 실제 상황을 직접 보여줍니다. 그리고 오리들의 운명을 알게 된 주인공 오리는 다른 오리들을 그대로 둘 수 없음을 깨닫지요. 다음 날, 오리는 오리 마을로 가서 다른 오리들에게 엄청난 사실을 알려 줍니다. 그리고 운동을 해서 살을 뺀후 하늘을 날아 자유로운 남쪽 나라로 날아가서 안전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다고 말해 주지요.

열심히 다른 오리들을 설득하고 결국 멋지게 하늘을 날아보임으로 탈출에 성공을 하여 평화로운 시간을 보내는 오리들을 책 속에서 만날 수 있지요.

이 책에서는 결코 어울릴 수 없는 악어와 오리와의 멋진 우정에 대해 재미와 감동을 함께 주고 있답니다.
이야기 뿐 아니라 그림 또한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고, 악어와 오리들의 표정들이 생생하게 그려져 있어 아이가 읽으면서 참 좋아합니다.

서로다른 두 주인공 - 악어와 오리의 따뜻한 우정을 우리에게 따뜻한 인정을 주고 있으며 또한 이야기 속에서 산업과와 기계화로 인해 현대화된 우리 사회의 이기적인 모습과 황폐한 모습을 꼬집고 있습니다.

아이들을 위한 동화이지만 함께 읽는 어른에게도 따뜻한 우정 뿐 아니라 교훈을 함께 주고 있는 감동적인 책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