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 3의 비밀 우리 문화 속 수수께끼 1
김종대 지음, 이부록 그림 / 사파리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가장 좋아하는 수는 사실 3이 아니라 7이다. 어릴 적부터 러키세븐이란 말을 들어서일까? 하지만 우리 아이가 가장 좋아하는 숫자는 '3'이라고 한다.

우리 아이는 아마도 이 책을 읽고나서 자신도 숫자 '3'이 좋다고 하는지도 모르겠지만...

사실 처음에는 이 책이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는 그림책인줄 알았다. 그런데 제법 양이 많아 어린 아이들이 쉽게 볼 수있는 책은 아니라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함께 온 퍼즐도 무척 좋아하고,  또한 숫자 3과 관련된 여러가지 이야기들이 정말 흥미로웠다. 절대 양이 많다고 해서 지루하거나 힘들게 읽지 않았던 것이다.

한자로 숫자 3이 써있고, 그 옆에는 남자는 숫자 1을, 여자는 숫자 2를, 그리고 숫자 1과 2를 합한 숫자 3을 생명의 탄생을 뜻한다고 생각했다고 한다.

사실 나 역시 옛 이야기 속에서 숫자 3과 관련된 이야기를 많이 들었지만 그렇게 생각했던 적은 없었고 이 책을 통해 처음 듣다시피한 것이라 나 역시 궁금해졌다.

<귀신 잡은 삼족구> 이야기를 통해 다리가 세 개인 개도 만날 수 있었고, 예전에 주몽 드라마를 통해 우리 아이도 잘 알고 있었던 태양의 새 <삼족오>와  귀신 쫓는 <삼두매>도 만날 수 있었다.

그 다음에 민간 신앙에 나타난 숫자 3의 이야기를 읽었다. 거지 부부의 세째 딸 가믄장아기. 나 역시 잘 알지 못하던 이야기인지라 이 책을 만들면서 알려지지 않았던 여러 우리의 옛 이야기를 알게된 것이다.

또한 우리의 옛이야기에서 뿐 아니라 세계의 옛이야기들 중에서도 삼형제가 나오는 이야기들이 정말 많이 있어서 집에 있는 책 중에 주인공들이 세 명인 책들을 함께 찾아보기도 했다.

3월 3일 삼짇날이라든가, 3년 고개나 3년 상,그리고 불교 속에 나타나는 숫자 3과 속담에도 나오는 3에 대한 내용이 재미있는 그림과 함께 나와있다.

생활 속에서 숫자 3을 만나는 시간. 정말 흥미로웠고, 숫자 3과 관련된 이야기 뿐 아니라 이 책을 통해서 다양한 숫자들을 사물과 연관시킬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