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모롤라를 사 버린건 확실히 충격이다.
예상은 엠에쉬가 모롤라를 사들이는 것이었다.
구글이 아직은 그렇게 까지는 안할거라는게 중론이었는데 아이티계에서는 모든게 항상 예상보다 빨리 실현된다.
일부 보도에서는 엠에쉬가 모롤라의 특허만 인수하려고 했다는데 소설도 왠간히 분수를 지켜라.
엠에쉬가 현찰이 없다는, 혹은 구글이 엠에쉬 보다 현찰이 무지 많다는 이야기에 지나지 않는다.
결국 엠에쉬가 노끼야를 사들이는 것으로 정리가 되고 이제 대략 삼국지 판도가 잡혔다.

1.애플 (애플)
2.구글 (모롤라)
3.엠에쉬 (노끼야)  (괄호안은 폰)

다른말로 쓰면

1.X,  혹은 인류문화유산
2.안드로이드 혹은 안드로이드의 탈을 쓴 LINUX
3.WINDOW, 썩어도 준치

결국 폰 전쟁의 종착지는 OS였던 것이었다.

현재 점유율에서 단지 1% 차로 애플에 바싹 따라 붙은 샘슝은 어떻게 될까?

돈 무지 많은 회장님께서 기껏 OS 하나 못 만드시겠나?

이 세상에 OS는, 정확히 하자면 개인용 OS는 , 단지 3개 만이 존재한다.
X 와 윈도 그리고 리눅스

샘슝을 만드는게 쉬울까? 이 OS중 하나를 만드는게 쉬울까?


모든 사람들이 똑 같은 말을 한다.
샘슝에는 소프트웨어를 이해 하는 사람이 없다. 라고

몇년전 은하에스를 막 시작할때 사과폰에 왕창 밀리는 어플 대책이 머냐니까 ==>
 수백억을 투입해서 어플 개발 지원센터를 만들어 유망한 어플을 잘 심사해서 개발비 대 주겠다.

며칠전 회장님 지휘서신 ==>
 소프트웨어 인력을 왕창 확보하라.

모든 사람들이 똑 같이 웃었다.


안드로이드는(회사명) 딸랑 8명이 둘러 앉아 리눅스 커널에 자바에 이클립스에 엑스엠엘 등등을 적당히 꿰매서 안드로이드 라는 걸(제품명) 만들어 샘슝에다 팔아 먹을려고 했는데 쫒겨 났단다.
일부 사람들이 이 사건을 두고 마치 샘슝이 이파리째 굴러온 호박을 차 버릴 정도로 안목이 땅 바닥이라고 호도하는데 그건 전혀 아닌 이야기다.
안드로이드는 샘슝과는 전혀 맞지 않는 물건이었을 뿐이다.
혹 착각이 있어 구글이 아닌 샘슝이 그날 안드로이드를 사들였다면 오늘날 오직 사과폰만 존재 했을 가능성이 매우 짙다.
안드로이드는 구글이었기에 안드로이드가 될 수 있었던 것 뿐이다.
이 에피소드는 OS가 단지 소프트웨어 기술만이 아니란걸 강력히 시사하고 있다.
그럼 머냐고?

내가 한때 생계의 일환으로 동고했던 OS,
360/370 (OS의 시조이자 동시에 종착이라는), UNIX, CP/M, APPLE DOS, MS DOS, WINDOWS, MAC, X, LINUX...
유명 OS들에는 일관되게 느껴지는게 있는데 그건 나름의 문화이자 철학이다.
그게 사람과 돈을 쏟아 붓는다고 해서 단기에 만들어 질까나?

샘슝이 공짜로 올린 OS는 구글이 몇년새에 수조를 퍼 부었다는 결과물인 것이다. 애플은 못해도 그 수십배를 들였을 것이다.
요 몇년새 폰계에서 샘슝의 너무나 눈부신 성과는 암만 봐도 하나님의 보우하사 외는 아닌 것 같다.
자신의 실력과는 너무나 동 떨어진 훌륭한 성과이다.
공짜 점심은 없다는 간단한 진리에 의거하여 이제 공짜 천국에서 유료 지옥으로 내려 갈 때가 된 모양이다.

샘슝에게는 어떠한 옵션이 있을까?
나 보기엔 하나 뿐이다.
소프트웨어고 나발이고 다 때려 치우고 열씸히 폰 제조만 한다.
제조기술로서는 아직 자타공인이다. 게다가 폰 특허로도 몰로라,노끼야 등등과 맞짱이다.
이분야에서는 애플이 가장 낙후한 형편이니 딜 기회는 충분해 보인다. 쫀심만 죽인다면.
무슨말?
애플에다 합병하라는 거지.
그러면

애플 + 샘슝
구글 + 모롤라
엠에쉬 + 노끼야

한 그림 되지 않나?

암만 봐도 폰계에서 샘슝은 이제 끝났다.
내 주제에 회장님 걱정할 건 아니지만 그 고뇌 이해는 된다.
너무 화려하게 올라갔으니 내려 오긴 힘들겠지.
 
최종 승자는 누가 될까?
난 구글에다 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조선인 2011-08-21 21: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옴니아 쓰다가 아이폰4로 옮겨탄 지금... 죽어라 후회하고 있어요. 핸드폰은 일단 통화가 잘 되는 게 가장 중요한 거 아닌가요? 전 벌써부터 모토로라 살 궁리하고 있습니다. ^^
 


1.
브레이빅이 불과 1시간반 동안 최소 85명을 사살하였다고 한다.



공개된 사진에 들고 있는 저건 미니14...
정조준하여 한발씩 쐈다는 증언이 있으니 AC556은 아니고...
(AC556은 완전 자동)
저 정도 성능이라면 머...
군용 자동 소총과 동급인 걸 민수용으로 팔다니...

노르웨이는 살인 최고 형량이 21년이라니...
브레이빅은 나이 50에 멀쩡하게 풀려나는구나...


2.
브레이빅이 인터넷에 1500 페이지 분량의 문건을 남겼다 하여 잠시 뒤져 본 바...
(절대 비료 폭탄 제조법 때문에 뒤진 것 아님)

document.no 에 남긴 문건중 한국이 여러번 언급되었는데...
http://www.document.no/anders-behring-breivik/

인용해 보면....


<중략>

Japan og Sør-Korea er mye klarere eksempler på i-land som konsekvent og svært direkte avfeide multikulturalismen.
한국과 일본은 일관되게 노골적으로 다문화주의를 억압하는 나라의 매우 극명한 예이다.

Multikulturalister blir svært brydd når du nevner Japan og Sør-Korea da disse nasjonene beviser helt åpenlyst at
masse-innvandring kun er et resultat av spesifikke Marxistiske doktriner og svært sjelden økonomisk eller kulturelt gunstig.

대량의 이민이 단지 특정 마르크스주의 교리와 매우 드믄 경제적 혹은 문화적 특권의 결과일 뿐임을 명백히 입증한 국가로서
한국과 일본을 언급한다면 다문화주의라는 건 매우 당혹스런 것이다.

Japan/Sør-Korea har en grense og grensevakter. Om man mangler visum blir man nektet passering... (Europa hadde visst denne ordningen før 1950-1960)
한국과 일본에는 국경이 있으며 국경수비대가 있어 여권이 없는 자는 국경을 넘을 수 없다. (유럽은 이 사실을 50-60년대에 이미 알고 있다)

Det interessante spørsmålet blir jo; hvorfor blir ikke Japanere og Sør-Koreanere demonisert som nazister og fascister?
Svaret vet vi...

매우 흥미로운 의문이 있는데, 왜 한국인이나 일본인은 나치나 파시스트와 같은 악마가 아닌가?
그 답은, 이미 우리는 알고 있다...

<중략>

"Globaliseringen og moderniteten er irreversible fenomener".
세계화와 현대화는 되돌릴 수 없는 현상이다.

Klassisk multikulturalistisk propaganda. Hva har globalisering og modernitet å gjøre med masse-Muslimsk innvandring?

고전적 다문화주의는 마약과 같은 선전이다. 대체 세계화와 현대화가 무슬림의 대량 이민과 무슨 상관이란 말인가?

Og du har kanskje ikke hørt og Japan og Sør Korea? Disse er suksessfulle og moderne regimer selv om de forkastet multikulturalisme på 70-tallet.

한국과 일본에 대해서 들어 본 적이 있는가?  이들 나라는 70년대에 다문화주의를 거부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매우 성공적인 현대적 체제를 갖고 있다.

Er Japanere og Sør-Koreanere nisser?

그렇다고 한국인이나 알본인들이 마귀들이란 말인가?

<중략>


De eneste "vestlige" nasjonene som nektet å implementere multikulti var Japan, Sør-Korea, Taiwan og delvis Finland.

다문화주의 체제를 거부한 서방국가에는 단지 한국,일본,대만,핀란드 일부만이 있다.

Japan, Sør-Korea og Taiwan har sluppet unna EU/US sin heksejakt fordi de ikke er Europeere.
한국,일본,대만은 유럽인이 아니기 때문에 EU와 미국의 마녀 사냥군들로 부터 보호되고 있다.

Om de hadde vært Europeere hadde de blitt demonisert som Nazister, fascister og rasister.
만약 그들이 유럽인이었다면 나치나 파시스트나 인종차별주의자로서 악마 취급을 받았을 것이다.

<중략>


Japan, Sør-Korea og Taiwan nektet å implementere multikulturalisme (som de tre eneste vestlige land som fortsatt har monokulturalisme).
한국,일본,대만은 다문화주의의 실천을 거부하였다. (아직까지 단일문화를 갖고 있는 서방국가의 유일한 나라들이다)

De argumenterte for at "societal cohesion" er ensbetydende med harmoni innenfor et samfunn. De ser fortsatt med forundring på dette merkelige Europeiske eksperimentet.

그들은 "사회적 결합"이 사회 조화와 동의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들은 여전히 유럽의 이 낯선 실험들에 대해 경악하고 있다.


브레이빅은 아마도 우리에게서 해결책을 찾고 있는 것 같은데....
참...
머라고 해야 할지...
쯔쯔...
희생자들, 특히 어린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ghdtjsrkd2 2022-01-29 01: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군용소총과 동급이라고? 절대 아니다. AR계열 총기들의 끝내주는 기본기와 확장성이 없고 AK계열들의 전설적인 내구성도 없다. 그리고문제점도 만만찮은데, 가장 먼저 손꼽히는 것은 AR-15에 비해 한수 아래의 명중률. 이건 일단 AR-15의 기본기가 워낙 넘사벽급으로 좋기도 하고, 유독 배리에이션이 많아서 정밀 총열이 흔하다. 반면 구형 미니-14의 총열이 가늘어서(˝연필처럼 가늘다˝고 욕 많이 먹었다) 사격을 하면 휘청거리기 시작하고 또한 연속해서 여러 발 쏘다보면 총열이 달아올라 미세한 열변형 때문에 점점 집탄이 벌어지는 것에 기인한다. 또한 아무리 디자인이 대중적인 M1, M14에서 따왔다고 해도 이러한 모델 자체가 이미 반세기 이상 지난 구시대적인 모델이다. 현대식 소총들의 특징인 1자형 개머리판에서 오는 반동제어에 비하면 단발 속사나 짧은 점사에서의 집탄이 떨어질 수 밖에 없다.[3] 그래도 200미터 이내의 근거리에서 써먹기엔 별 문제가 없다. 정 원한다면 스코프 장착 사격을 기본으로 하는 Target 모델을 선택하면 명중률에서도 우수해진다. 또한, Barrel Stabilizer라는 애프터마켓 부품이 있는데, 총열을 잡아주는 총열 하부 연장부품 같은 것으로 집탄군 떨어지는 것을 잡아주는 편이다. 그리고 스태빌라이저 달면 왠지 M-14를 더욱 닮아서 외모적으로도 멋있어진다. 총열을 강화한 택티컬 모델부터는 실용적 레벨에서 AR과 꿇리지 않는다. 요즘 새로 나오는 신형 Mini-14는 더 두꺼운 총열을 사용하도록 개량이 이루어져서 명중율이 낮다는 건 이제 옛날 얘기가 되었다. Mini-14의 또다른 큰 약점은 탄창인데, .223/5.56mm를 쓰고 AR-15 시리즈의 STANAG 탄창과 서로 똑같아 보일 정도로 비슷하게 생겼지만, 사실은 모양만 닮고 서로 호환되지 않는 전용 탄창이다. AK계열 화기처럼 탄창 앞쪽을 걸고 뒤를 끼워올려서 탄창멈치에 물리는 형태인데, 구조적으로 탄창을 끼운 상태에서 약간 앞뒤로 덜컥거림이 있다. 실용적으로 별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지만 이걸 잘못 다루거나 상태가 안 좋은 걸 끼우면 작동불량을 일으킬 수 있다. 탄창의 가격 차이는 크게 나지 않지만 아무래도 STANAG 탄창이 좀 더 흔하고 싸며 Mini-14가 탄창 문제로 범용성에서 뒤진다는 점을 따져보면 꽤나 치명적인 단점. 원래 기본 탄창은 10발짜리와 20발짜리인데, 여기에 사연이 좀 있다. 해당 문서 참조. 이 시기 20발 이상의 양산형 탄창을 군경용으로만 팔다보니 탄창 프리미엄이 엄청 붙었던 시기가 있었다. 프리미엄 빼고도, 널리고 널린 STANAG 탄창보다는 수급이 쉽지 않은데다 가격도 좀 비싸다. 그렇다고 애프터마켓 탄창을 쓰자니 Mini-14용 애프터마켓 탄창은 쓰레기 중의 쓰레기로 악명이 높고... 그나마 지금은 프로맥, 탭코 등에서 괜찮은 물건을 내놓아서 그럭저럭 가격대가 안정화되었다. 하지만 탭코 등에서 나온 탄창도 세대를 거듭하며 개량하고 있음에도, 신뢰성이 가장 나은 루거 팩토리 탄창만 못하다. 루거 팩토리 탄창은 여전히 AR 탄창에 비해 약간 비싼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웃기게도 루거 사는 싼 값에 AR-15용 철제 탄창을 양산 보급하고 있어서, Mini-14팬들에게 미니 탄창이나 그렇게 양산할 것이지라고 비난을 사는 중.

ghdtjsrkd2 2022-01-29 01: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런 사례를 자세히 알아보면 다수의 경우는 처음엔 일반인보다 훨씬 열렬한 사회협력자이지. 근데 사회가 만만한 희생양 취급해서 빡빡하게 탄압했지. 그래놓고 높으신분들끼리의 ㅈㄹ맞은 사상+규제에 순응하길 바래. 저런 유형은 절대로부조리를 사회적으로 봉쇄시키고 부조리처벌해서 납득시켜야해. 안그럼 답도 안나옴.
 




















1,2,3은 원체 다른 차원에서 오신 분들이고
4,5는 내부 거래자

사실상 더 올라 갈 수 없는 자리구먼.

이 기간에 한 거라곤 꼴랑 무성의 뻬빠 한개.

어디나 오래 박혀 있으면 상전벽해를 겪게 되고,

그래도 아주 떠나지 않고 아주 가끔이나마 들여다 보는 이유는

누군가를 기다리기 때문이다.

다시는 오지 않는다 하더라도

그 길 모퉁이에는 여전히 그녀의 향취가 배어 있으니까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조선인 2011-06-15 08: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도 많은 사람을 기다리고 있어요... 혹시나 그분들이 돌아오면 내가 가서 인사를 해야 한다고 생각중... 웃기죠?

하이드 2011-06-15 09: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이게 머야. 1위는 다른 차원 중에서도 다른 차원에서 오신 분이군요. ㅎ 저는 그래도 위에 로쟈님 있으니깐 괜찮; 다고 얘기하려다보니, 이번주는 바빠서 페이퍼 제대로 못 쓴 주 'ㅅ'

Mephistopheles 2011-06-15 09: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내 이름이 없다는 것 하나만으로 안심...ㅋㅋ

마노아 2011-06-15 12: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저는 제 이름이 없어서 신기해했어요. 페이퍼 안 썼구나...ㅎㅎㅎ

paviana 2011-06-15 16: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4위와 9위는 무슨 차이일까요?

우리 모두 노란 손수건들고 기다리는 사람들이 있나봐요.

무스탕 2011-06-16 14: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른 차원, 내부 거래자.. ㅋㅋㅋ
 


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

"삼성테크윈이 우연히 나와서 그렇지 삼성그룹 전반에 부정부패가 퍼져 있는 것 같다.
과거 10년간 한국이 조금 잘되고 안심이 되니까 이런 현상이 나타나서 더 걱정이 돼서 요새 바짝 이 문제를 챙겨 보고 있다.
향응, 뇌물도 있지만 가장 나쁜 것은 부하직원을 닦달해 부정을 시키는 것이다.”

여러 주변 사람들이 어이 없어 하고 실소를 금하지 못하지만 그건 그 사람들의 인문적 소양 부족에 기인하는 것이다.

과거에 성군들이 법을 만든 이유는 백성들을 올바르게 통치하기 위함이다.
정확히 이해 하여야 한다. 왕이 아랫것들을 통제 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
자신은 그 법과 전혀 무관하다.

회장님은 자신의 위치를 명확히 이해 하고 있기 때문에 저런 말씀을 하시는 것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조선인 2011-06-10 08: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푸하하하 레이님의 촌철살인, 정말 끝내줍니다.

Arch 2011-06-10 09: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참 어이없다, 이랬는데 왕이라 그랬군요!

Mephistopheles 2011-06-10 09: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참 궁금한데....평창이 동계 올림픽 유치를 실패한다면........어찌 될까요?

무스탕 2011-06-10 09: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제 YTN 한 꼭지에서 저 장면을 보여주는데 참..
 

나는 욕하지 않는다.
기억이 닿는 한 어릴적 부터 그랬다.
심지어 군대에서 조차 하지 않았다.

내 주위에도 욕하는 사람이 없다.
욕설이 끼지 않으면 대화가 안된다는 설도 있지만 최소한 내 주변은 아니다.

이유는 간단하다.
욕은 자신의 인격도 깍아 내린다고 느끼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생각한다는 것이 아니라)

그런데 언급하는 것 만으로서도 인격이 떨어진다고 느껴질 수도 있다는 걸 이번에 알았다.
그래서 부득이하게 그 분을 언급하여야 할때에는 가급적 극존칭을 사용한다.


참 죄송스럽다.
3년동안 전혀 평안스럽지 못하였다.
 

 사진출처 www.ddanzi.com/news/66750.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