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신에 목숨을 건 조선의 아웃사이더
노대환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아웃사이더들은 어느 시대이건 있기 마련이지만, 조선시대의 아웃사이더라고 하면 누구를 꼽아야 할지 쉽게 감이 오지 않았다. 학문의 범위도 제한적이었고, 무엇보다 예를 중시하는 분위기가 깊게 퍼져있는 속에서 남과 다른 길을 가는 것이 가당키나 한 일이었겠나 싶은 의구심도 들었다. 그러나, 그러한 생각은 이 책을 읽으면 곧 없어진다. 소신을 굽히지 않은 조선 선비 12명을 바로 만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나 '아니오'로 자신의 의견을 분명히 말하기가 꺼려지는 세상, 가운데서 줄타기를 하지 않으면 손해보는 것 같은 세상일수록 소신의 가치는 빛난다. 너무 튀지 않고 중간만 가면 된다는 말이 자조적으로 쓰이는 요즘, 자신이 생각한 바를 강직하게 밀고 나가며 굽히지 않은 줏대를 보여주시는 이 분들의 얘기는 더욱 의미가 깊다. 물론 그 과정에서 타인과 부딪치며 불이익을 당하기도 했으며, 때로는 강한 성격으로 남을 다치게도 했었다. 순기능만 있는 것이 아니고 역기능도 존재했던 소신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분들의 얘기가 긍정적으로 다가오는 것은 주장의 당위성과 함께 그만큼 희소성의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12분의 아웃사이더 중에는 과거에 합격을 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조의 문체반정 시대에 낡은 문체를 썼다는 이유로 번번이 충군되어 젊은 날들의 기회를 놓쳐버린 이옥이 있었다. 의식이 없으며 가벼울 뿐만 아니라 사람의 감정을 투영하여 쓴 글을 매우 좋지 않게 보았던 정조는 이옥 외에도 여러 명을 지목했었다. 다른 이들은 반성문을 제출하고 문체를 고쳐 현실과 타협했지만, 끝내 이옥은 자신의 문체를 버리지 않아 성공의 가도를 달릴 수도 있었던 기회를 놓쳐버렸다.
중인의 신분이었지만 글만큼은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다고 자부하던 이언진도 기억에 남는다. 어려서부터 문장을 짓는 데에 남다른 재주가 있었던 이언진은 계급의 벽으로 역관 이상은 올라갈 수가 없었지만, 통신사의 자격으로 일본에 갔을 때조차 멋진 시를 지어내 일본인들을 감탄케 할 만한 실력을 갖추고 있었다. 그랬던 그가 인정받고 싶어하던 단 한 사람인 박지원은 그의 글을 보고 대단치 않다는 평가를 내리고, 이언진은 약한 몸에 정신적 충격을 받아 젊은 나이에 요절하고 만다. 뒤늦게 박지원은 그를 추모하며 '우상전'을 지어 이언진의 재능을 재평가했다. 그러나, 그는 이미 세상에 없으니, 도도한 성품은 신분의 벽과 함께 그의 실력을 세상에 펼치는 것에 방해물이 되고 말았다.
이외에도 스승 조광조의 죽음을 겪은 후 고향에 소쇄원을 짓고 선비들과 교류하며 다시는 정계에 진출하지 않았던 양산보, 의리와 실천력을 중시하여 강직한 말과 행동을 서슴지 않았으나 인목대비의 폐비를 주도했다는 죄목으로 처형을 당한 정인홍, 오로지 북벌을 위해 남은 인생을 걸었지만 사문난적으로 몰린 윤휴의 일생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시사한다.
그들의 대쪽같은 성품을 갈아 좀 둥글린다면 정책의 수행 면에서도 부드럽게 굴러가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기는 하다. 그래도, 고집스럽게 소신을 밀고 나간 덕분에 그들의 삶은 최소한 구차하진 않았다. 개인적인 영달을 위해 못본 척, 못들은 척 해야 하는 일이 많은 현대인일수록, 이들의 기개와 곧은 성품을 마주하며 당황함과 동시에 스스로의 삶을 되돌아보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