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설타누나, 나의 멘토가 되어줘! - 설타누나와 10대들의 속닥속닥 공감 토크
설보연 지음 / 글로세움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책머리에 나온 '설타's first letter'를 읽으며 '이 대학생, 속이 꽉 차있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고등학교 시절, 목표를 가지고 공부하는 학생도 있겠지만, 주어진 숙명이나 되는 것처럼 수험생 기간을 보내는 경우도 많을 것이다. 그렇게 대학을 가서는 갑자기 주어진 자유를 만끽하기 바쁜데, 설타누나는 언론인이 되어 토크쇼를 진행하며 더 나아가 국제적인 방송인이 되려는 포부를 가지고 있다. 그것은 자신이 유명해지려는 심리에서가 아니라, 제 3세계의 기아와 빈민 구제 등의 목적을 이루는 수단의 한 방편이라니, 마음이 참 예쁘다고 칭찬하지 않을 수 없다.
아프리카의 기아 난민 사진이 실린 신문 한꼭지를 보고 어떤이는 가볍게 보고 한쪽으로 치울 수도 있지만, 설타누나는 고등학교때 그 신문기사의 사진을 오려내어 책상 앞에 붙였다고 한다. 그 사진에 자신의 목적을 담고서 정진한 것이다. 그리고는 서울대 사범대학에 진학했으니, 목표를 위해 한걸음씩 애써온 여정은 보지 않아도 알 것 같다.
책에는 이러한 설타누나가 청소년들의 고민 이야기를 듣고 다정하게 조언을 해주는 내용이 담겨 있다. 청소년들의 고민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할 공부문제부터 친구와 가정 문제, 이성문제 등 여러 분야에서 자신의 경험과 함께 조근조근 들려주는 이야기는 어른들의 '~해라'체가 아니다. 친언니, 친누나가 직접 곁에서 말해주는 것처럼 쓰여졌고, 설타누나 역시 청소년 시기를 벗어난지 오래 되지 않았기에 거리감이나 세대 차이없이 청소년들에게 다가설 수 있을 것 같다.
설타누나가 조언해주는 이야기 중에는 시간 조절과 학습계획 세우기에 대한 내용도 있다. 특히 수능을 앞둔 고등학생들은 공부시간의 부족함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고 공부의 요령을 잘 모르는 경우도 있어 꼭 필요한 얘기라고 생각된다.
문자 중독에 관한 이야기인 '핸드폰을 던져라'에 대한 내용 역시 동감한다. 아이에게 핸드폰을 사주었더니, 수시로 오는 문자 소리에 공부의 리듬이 깨지기 일쑤였다. 공부 시간에 과감히 핸드폰을 끄지 않고서는 열중하기가 힘들어보여 이 의견에 적극 공감하는 바이다.
설타누나는 전교학생회장까지 지낸 경험이 있어 남들 앞에서 말하기 하나는 자신있다고 한다.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발표 잘 하는 법도 실어 놓았다. 임원 경험은 책임감, 리더십, 계획력과 추진력, 통찰력 등을 기르는 데 좋다고 꼭 해볼 것을 권한다.
여러 고민에서 벗어날 길 없는 청소년들에게 선물로 매우 좋은 책이라 생각된다. 초등 6학년인 딸아이가 재미있고 도움도 많이 된다며 좋은 책이라 말하는 걸 보면, 이 책은 주대상인 청소년들에게 멘토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해낼 것 같다.